본문 바로가기

광주,전남 지역소식

(940)
농사접을판 “열매조차 못보고 농사 접을판”입력시간 : 2013. 07.08. 00:00 농작물재해보험 가입 안돼 피해보상만 기대 현장르포-‘물폭탄’ 맞은 담양 멜론농가 가보니 “멜론 수정시기에는 암술에 물이 들어가면 안 되기 때문에 한 동안 물없이 길러야 하는데 이번 비로 하우스가 침수되면서 농사를 아예 망쳐 버렸어요.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정말 막막하기만 합니다.”지난 6일 오후 3시께 담양군 봉산면 제월리 유인화씨(54·여)의 멜론하우스 농가. 이 날 찾은 유씨의 0.3ha 규모 멜론하우스 3개동 바닥은 아직 물이 빠지지 못한 채 고여 있었다.지난 4일과 5일 이틀간 쏟아 부은 게릴라성 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것이다. 담양에는 이 기간동안 285.5㎜의 강한 비가 내려 인근 농경지 농로에 차 오른 빗물이 ..
비오면 미끄러운 농성역 비 오면 `미끌’ 걷기 힘든 농성역강경남 kkn@gjdream.com | 2013-07-08 07:00:00원래대로크게보기빗물·천정서 떨어진 물 바닥 젖어 미끄럼 방지 조치 없어 시민들 “넘어질까 조심조심” “뭔 바닥이 이렇게 미끄러워?”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지하철역인 농성역의 대리석 바닥이 비 오는 날 물기에 젖었는데도 광주도시철도공사(이하 공사)가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아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특히, 천정에서 물이 떨어지는 곳도 있어 `빗물 누수’가 의심되는데, 공사는 “내·외부 온도차에 따른 결로 현상”고 해명했다. 날씨와 기온에 따라 대리석 바닥이 자주 물기에 젖을 수 있는 상황인 것. 시민들의 안전한 보행을 위한 공사의 미끄럼 방지 대책이 요구된다. 100mm에 가까운 폭우가 쏟아진 지난 ..
전남대-병원 기금교수 ‘힘겨루기’ 전남대-병원 기금교수 ‘힘겨루기’부담금 납입 안해 재임용 불가vs현실·절차 무시한 ‘탄압’ 김명식 기자 | msk@namdonews.com 전남대학교와 전남대병원은 기금교수 운영을 놓고 올해 1월부터 7개월째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대학측 기금교수 운영 규정 등을 토대로 병원 부담금 납입을 독촉하는 상태다. 병원측 역시 운영 규정과 그동안의 관행, 현실적 어려움 등을 들어 본부측 요청을 따르지 않고 있다. 현재 기금교수 운영에 대한 대학측과 병원측의 갈등 배경과 주장 등을 살펴본다. ▶7개월째 공방=대학측은 지난 1월 기금교수 운영에 필요한 병원 부담금을 ‘재단법인전남대학교발전기금재단’에서 관리하겠다며 부담금 납입을 요청했다. 하지만 병원측이 거절하자 부담금 미납입에 따른 재원부족으로 오는 9월 1일자 ..
광주 구청 공·폐가 관리의 ‘두 얼굴’ 광주 구청 공·폐가 관리의 ‘두 얼굴’ 정응래 기자 | jer@namdonews.com 승인 2013.07.01 18:48:18 5개 구청에 2천374곳…대다수 방치 상태 북구, 5곳에 쌈지주차장…6곳은 추진 대조 ▲ 광주 동구 계림동 주택가에 수년째 방치돼 각종 쓰레기와 파리와 모기 등 서식지로 전학한 공가, 북구는 지난해부터 33억여원을 들여 북구 문흥1동 등 11곳에 만든 쌈지주차장에 한 주민이 주차를 하고 있어 대조를 보이고 있다./정응래 기자 jer@namdonews.com광주지역 상당수 공·폐가가 관리 부실로 청소년 탈선장소나 각종 쓰레기 불법투기로 악취는 물론 도시미관을 저해하고 있는 반면에 일부 지역은 주차장을 조성해 주민들의 주차난을 해소하고 있어 큰 대조를 보이고 있다. 1일 현재 광주..
막말에 생떼ㆍ폭행… '막가파 민원인' 골머리 막말에 생떼ㆍ폭행… '막가파 민원인' 골머리 공공기관 무작정 찾아와 고함 지르고 집기 등 파손 입력시간 : 2013. 07.01. 00:00 막말에 폭행, 심지어 돈까지 요구하는 '막가파식' 악성 민원인들 때문에 자치단체와 공공기관 등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들은 무작정 찾아와 생떼를 쓰거나 욕설을 퍼붓는 건 기본이고 물건을 집어 던지거나 파손시키는 경우도 다반사다. 지난달 13일 오전 광주 남구 백운2동 주민센터. 조용하던 주민센터가 갑자기 A(50ㆍ여)씨와 그의 딸, 애완견의 등장으로 소란스러워졌다. A씨는 이날 백운동으로 전입신고를 하기 위해 주민센터를 찾았다. 하지만 A씨는 센터에 들어오자마자 다짜고짜 소리를 지르며 센터장을 찾았다. 당시 A씨는 집에서 백운2동 주민센터까지 찾아오기 위해 택시를..
담배 단속 어디서, 어떻게… 헷갈리는 흡연자들 담배 단속 어디서, 어떻게… 헷갈리는 흡연자들 이달 들어 대대적인 단속 음식점도 지정된 곳 가능 길에선 시민 피해 안주게 입력시간 : 2013. 07.02. 00:00 "단속한다고 하는데 어디에서 담배를 피워야 하나요." 공중이용시설 등의 흡연 단속이 1일 본격 시작된 가운데 흡연자들은 어디에서 담배를 피워야 할 지 몰라 혼란스러워 하는 모습이다. 이날 광주시에 따르면 공중이용시설 전면금연 계도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3일부터 19일까지 150㎡이상 음식점과 PC방 등 공중이용시설 금연구역 흡연에 대해 대대적인 지도ㆍ단속을 실시할 예정이다. 단속은 보건복지부와 시ㆍ구, 관련협회ㆍ단체 등이 합동으로 150㎡이상 음식점 2372곳, PC방 1056곳, 공공청사 264곳, 의료기관 1795곳 등 총 1만1886곳..
불법 현수막 부실 철거 가로수 몸살 불법 현수막 부실 철거 가로수 몸살 구청 제거 과정서 철사·노끈 등 그대로 방치 나무 움푹 파여 성장 저해…깔끔한 철거 절실 입력날짜 : 2013. 07.02. 00:00 1일 오후 광주 북구 문흥동의 한 가로수에 불법현수막이 제거되고 남은 철사와 노끈이 그대로 남아 있다./이정민 기자 genius@kjdaily.com광주지역 곳곳에 심어진 가로수가 불법현수막 단속 공무원들의 부주의로 줄기가 움푹 패이는 등 몸살을 앓고 있어 비난이 일고 있다. 이들 공무원들이 현수막을 철거 할 때 현수막만 가져가고 가로수에 묶여 있던 노끈이나 철사 등은 그대로 방치해 놓고 있어 가로수가 상처를 입은 것은 물론 도시 미관까지 해치고 있기 때문이다. 1일 오후 광주 북구 문흥동의 한 거리. 이곳은 이미 구청에서 단속을 했는..
푸른길 자전거 이용자 찬밥 남광주 푸른길, 자전거 이용자 `찬밥’ 보관대 전혀 없어…조형물이 `자전거 주차장’ 신세 시민들 “자전거 보관대 좀 놔줘”…동구 “이달 중 설치” 강경남 kkn@gjdream.com 기사 게재일 : 2013-07-02 06:00:00 ▲ 남광주 푸른길 공원에는 자전거 보관대가 없어 공원 조형물이 `자전거 주차장’ 기능을 하고 있다. 지난 3월 준공 이후 부실공사로 인한 보수공사를 마친 남광주 푸른길 공원이 이번엔 자전거 이용자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공원 주변에 자전거 보관대를 비롯한 편의시설이 없어 자전거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는 것. 이에 시민들의 불만이 잇따르자 동구는 부랴부랴 자전거 보관대 설치를 추진하고 나섰다. 1일 동구에 따르면, 15억 원이 투입돼 조성된 푸른길 남광주역사 테마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