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 초등생 3천여명 방과후학교 예산삭감
"어려운 아이들 예산 빼 어디에 쓰나" 반발
광주시교육청이 초등학교 위기가정 학생 3천400여명에게 지원하던 방과후학교 사업을 중단하기로 해 비난이 일고 있다.
29일 광주시교육청과 일선 학교 등에 따르면 저소득층과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위해 방과후학교 수강료를 자유수강권 형태로 지원하는 사업을 시행 중이다.
자유수강권은 기초생활수급권자와 한부모 가정, 차상위계층, 경제적 위기 가정 등을 1∼3순위로 나눠 지원하고 있다.
이 사업은 학생들이 단순히 방과후학교 수업만 듣는 차원을 벗어나 저소득층 학생들을 방과후에 학교에서 돌봐주는 효과까지 있어 학부모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해에만 1·2·3순위 가정의 초등학생 약 3만명(29,942)명이 지원받았으며 1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올해는 위기가정 학생들이 오히려 3만2천811명으로 전년도보다 3천명 정도 늘었음에도 예산은 오히려 20억 원을 삭감한 80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이에 시교육청은 올해는 1·2순위 가정 학생들에게만 자유수강권을 지급하고 3순위 위기가정 학생들의 경우 오는 6월부터 중단하겠다며 최근 일선학교와 학부모들에게 통지했다.
그런데 20억원의 예산 삭감으로 3순위 초등학생 3천369명이 혜택을 받지 못해 수업이 끝나자마자 귀가해야 할 처지에 놓이게 됐다.
시교육청의 조치에 일선학교에서는 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 광주 농촌지역 학교장들은 직접 시교육청을 방문해 사업 중단 재고를 요구하기도 했다.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저소득층 아이들을 위한 지원예산을 삭감하면서까지 과연 시교육청이 하는 사업이 무엇인지에 대한 비난까지 나오고 있다.
3순위 자녀를 둔 학부모 정모씨(46·북구 문흥동)는 "우리 부부는 맞벌이를 하고 있는데 지원이 끊기면 한 명은 직장을 그만둬야 할 상황"이라며 "어린아이 혼자 집에 두고 어떻게 일손이 잡히겠느냐. 그렇지 않아도 요즘 가득이나 큰 사고가 터지고 있는데 걱정이 많다"고 밝혔다.
학부모단체도 이해할수 없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광주·전남 교육을 생각하는 학부모연합' 정미경 대표는 "경제적으로 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을 위한 예산이 깎였다면 도대체 어떤 예산이 늘어난 것이냐"며 "교육청이 정말로 학생들을 위해 존재한다면 경상비라도 깎아서 애들을 위해 써야 되지 않으냐"고 비난했다.
시교육청은 일선 학교 반발이 확산 조짐을 보이자 일단 농촌지역 학교에 대해서는 지난해처럼 예산을 지원하기로 한발 물러섰다.
하지만 다른 지역에 대해서는 방침을 바꾸지 않을 방침이어서 형평성 논란까지 일고 있다.
시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3순위의 경우 반드시 지급하라는 규정은 없다"며 "그동안 부족한 예산 아래에서도 지원해 왔지만 올해는 예산 상황을 보고 결정할 방침이다"고 전했다.
/김명식 기자 msk@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지역 학교화장실 "너무 불편해요" (0) | 2014.06.05 |
---|---|
칠곡 계모 사건 형량 '양형기준 부합' vs 울산 계모사건 '양형기준 상향이탈' (0) | 2014.05.30 |
계단식 대피통로 … 화재 땐 거동불편 환자 속수무책 (0) | 2014.05.30 |
홈플러스 동광주점 불법 영업행위 말썽 (0) | 2014.05.28 |
성폭행 피해 장애인 매일 가해자 대면 (0) | 201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