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억짜리 호남권역재활병원 반쪽 운영 |
강은미 “인력·장비 부족…156병상 중 70병상 가동”
|
▲ 지난해 1월 북구 본촌동에서 개원한 호남권역 재활병원.<광주시 제공> |
광주시가 건립하고 조선대병원이 위탁 운영하고 있는 호남권역 재활병원이 전문인력 부족, 시설·장비 빈약 등으로 전체 156병상 가운데 70여 병상만 가동되는 ‘반쪽’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강은미 광주시의원은 지난 14일 열린 광주시의회 223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긴급현안질문에 나서 “광주시가 건립한 호남권역 재활병원이 첨단 의료장비가 부족하다”면서 “재활공공의료기관 운영 정상화에 대한 광주시의 대책은 무엇이냐”고 따졌다.
강 의원에 따르면, 북구 본촌동에 들어서 지난해 1월부터 운영에 들어간 호남권역재활병원(지하 1층, 지상 4층)은 사업비 300억 원(국비 135억·시비 165억)이 투입된 총 156병상 규모다.
민간의료시설과는 차별화된 공공재활프로그램을 운영해 장애 발생 이후 조기 사회 복귀,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건립됐다.
호남권역 재활병원은 조선대병원이 위탁·운영하고 있는데, 강 의원은 재활전문인력 부족과 타 시도 재활병원과 현격하게 차이나는 시설과 장비 등의 문제로 인해 전체 156병상 가운데 70여 병상만 가동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강 의원은 “재활병원 조리실 천정은 내려앉고 바닥이 움푹 패여 물이 항상 고여 있는 상태”라면서 “효과적인 재활치료를 위해 설치된 수(水)치료실 천장은 석회로 돼 있어 항상 곰팡이가 슬어있는 실정”이라고 제기했다.
또 “건물 벽면 전체가 유리벽인 병동은 이중창이 아닌 단일창으로 설계돼 외풍이 심해 환자와 의료진이 추위를 호소하고 있다”면서 “바깥과 연결된 병동출입문은 들떠 있어 빗물이 건물 안으로 스며드는 등 시설문제가 단순하지 않다”고 추궁했다.
강 의원은 “설계부터 시공, 사후 점검까지 광주시의 행정이 존재함에도 결과는 타 시도에 비해 병원시설과 장비는 허술하고, 위수탁기관인 광주시와 조선대병원이 호남권역 재활병원 운영의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지 않아 파행 운영되고 있다”면서 “병원 운영 정상화를 위한 광주시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 광주시는 해명자료를 내 “호남권역재활병원은 현재 재활의학과 전문의 2명을 포함한 의료진 76명이 근무하고 있고 156병상중 76병상을 운영하고 있다”면서 “보건복지부 권역별재활병원 운영기준에 의하면 의료진의 인력은 적합한 수준에 해당된다”고 주장했다.
“첨단 의료 장비 빈약”이라는 주장과 관련, 광주시는 “재활병원 운영에 갖춰야할 의료장비는 ‘국립재활원’의 자문과 함께 ‘호남권역재활병원 자문단 회의’를 거쳐 기종과 품목을 확정했고 수탁자인 조선대에서 모두 구축했다”면서 “다만, 재활병원의 특화와 공공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자 수(水)치료 장비(5억 원)·일부 첨단의료 장비(8억 원)는 수탁자와 시가 협의해 구축할 예정이며 현재 추진 중에 있다”고 해명했다.
조리실 천장이 내려앉는 등 시설 문제와 관련, 광주시는 “조리실 천정 처짐 현상과 바닥 배수처리 미흡 등 하자보수에 대해 광주시는 매년 상·하반기 정기 하자검사를 실시하여 보수하고 있다”면서 “2013년 하반기 하자 검사 결과에 따라 본 공사의 시공사인 두산건설(주)에서 이달 28일까지 하자보수를 완료하겠다는 계획서를 제출했으며, 시는 재활병원 시설 전반을 재점검해 병원 관계자 및 환자들의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조속히 조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위수탁기관인 광주시와 조선대병원이 호남권역재활병원 운영 정상화에 노력하지 않는다”는 주장과 관련해선 광주시는 “호남권역재활병원은 지난해 1월 개원해 1년 정도를 운영했으나 수탁자가 운영에 따른 적자 발생분에 대해 시에 지원을 요구한 바 있다”고 설명하고 “시는 수탁자가 자체 의료장비 개선, 공공의료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등 정상운영을 위한 자구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운영상 애로사항이 발생하면 경영 평가 후 적자보전 등에 대한 지원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채정희 기자 goodi@gjdream.com
강은미 광주시의원은 지난 14일 열린 광주시의회 223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긴급현안질문에 나서 “광주시가 건립한 호남권역 재활병원이 첨단 의료장비가 부족하다”면서 “재활공공의료기관 운영 정상화에 대한 광주시의 대책은 무엇이냐”고 따졌다.
강 의원에 따르면, 북구 본촌동에 들어서 지난해 1월부터 운영에 들어간 호남권역재활병원(지하 1층, 지상 4층)은 사업비 300억 원(국비 135억·시비 165억)이 투입된 총 156병상 규모다.
민간의료시설과는 차별화된 공공재활프로그램을 운영해 장애 발생 이후 조기 사회 복귀,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건립됐다.
호남권역 재활병원은 조선대병원이 위탁·운영하고 있는데, 강 의원은 재활전문인력 부족과 타 시도 재활병원과 현격하게 차이나는 시설과 장비 등의 문제로 인해 전체 156병상 가운데 70여 병상만 가동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강 의원은 “재활병원 조리실 천정은 내려앉고 바닥이 움푹 패여 물이 항상 고여 있는 상태”라면서 “효과적인 재활치료를 위해 설치된 수(水)치료실 천장은 석회로 돼 있어 항상 곰팡이가 슬어있는 실정”이라고 제기했다.
또 “건물 벽면 전체가 유리벽인 병동은 이중창이 아닌 단일창으로 설계돼 외풍이 심해 환자와 의료진이 추위를 호소하고 있다”면서 “바깥과 연결된 병동출입문은 들떠 있어 빗물이 건물 안으로 스며드는 등 시설문제가 단순하지 않다”고 추궁했다.
강 의원은 “설계부터 시공, 사후 점검까지 광주시의 행정이 존재함에도 결과는 타 시도에 비해 병원시설과 장비는 허술하고, 위수탁기관인 광주시와 조선대병원이 호남권역 재활병원 운영의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지 않아 파행 운영되고 있다”면서 “병원 운영 정상화를 위한 광주시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 광주시는 해명자료를 내 “호남권역재활병원은 현재 재활의학과 전문의 2명을 포함한 의료진 76명이 근무하고 있고 156병상중 76병상을 운영하고 있다”면서 “보건복지부 권역별재활병원 운영기준에 의하면 의료진의 인력은 적합한 수준에 해당된다”고 주장했다.
“첨단 의료 장비 빈약”이라는 주장과 관련, 광주시는 “재활병원 운영에 갖춰야할 의료장비는 ‘국립재활원’의 자문과 함께 ‘호남권역재활병원 자문단 회의’를 거쳐 기종과 품목을 확정했고 수탁자인 조선대에서 모두 구축했다”면서 “다만, 재활병원의 특화와 공공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자 수(水)치료 장비(5억 원)·일부 첨단의료 장비(8억 원)는 수탁자와 시가 협의해 구축할 예정이며 현재 추진 중에 있다”고 해명했다.
조리실 천장이 내려앉는 등 시설 문제와 관련, 광주시는 “조리실 천정 처짐 현상과 바닥 배수처리 미흡 등 하자보수에 대해 광주시는 매년 상·하반기 정기 하자검사를 실시하여 보수하고 있다”면서 “2013년 하반기 하자 검사 결과에 따라 본 공사의 시공사인 두산건설(주)에서 이달 28일까지 하자보수를 완료하겠다는 계획서를 제출했으며, 시는 재활병원 시설 전반을 재점검해 병원 관계자 및 환자들의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조속히 조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위수탁기관인 광주시와 조선대병원이 호남권역재활병원 운영 정상화에 노력하지 않는다”는 주장과 관련해선 광주시는 “호남권역재활병원은 지난해 1월 개원해 1년 정도를 운영했으나 수탁자가 운영에 따른 적자 발생분에 대해 시에 지원을 요구한 바 있다”고 설명하고 “시는 수탁자가 자체 의료장비 개선, 공공의료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등 정상운영을 위한 자구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운영상 애로사항이 발생하면 경영 평가 후 적자보전 등에 대한 지원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채정희 기자 goodi@gjdream.com
'광주,전남 지역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도 고문변호사는 ‘철밥통’? (0) | 2014.02.18 |
---|---|
쏟아지는 ‘염전노예 대책’ 지역민들 “글쎄요” (1) | 2014.02.18 |
'염전 노예' 뒷북 조사 경찰서에서 웬 공연 (0) | 2014.02.18 |
염전 노예’ 빼돌릴 빌미 준 이상한 경찰 수사 (0) | 2014.02.18 |
대한민국은 ‘영남공화국’ (0) | 2014.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