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전남 지역소식

학교급식 식재료 방사능 검사 강화해야” 강은미

“학교급식 식재료 방사능 검사 강화해야” 강은미
*광주시의회 시정질문
진선기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저조” 송경종 “광산교육지원청 설립을”

2013년 10월 22일(화) 00:00

 

 

광주시의회는 21일 제221회 임시회 본회의를 열고 광주시 교육청을 상대로 한 시정질문을 벌였다.

이날 시정질문에는 송경종(민주·광산 4)·진선기(민주·북구 1)·강은미(정의당·서구 4) 의원이 나서 광산교육청 설립,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활성화대책, 방사능오염 학교급식 식재료 사용제한 대책 등을 촉구했다.

강은미 시의원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방사능 오염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지만, 시교육청은 학교급식에 식품방사능 검사를 하지 않는 등 제도적인 여과장치가 없다”며 관련 조례 제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강 의원은 “지난 8월 녹색당이 전국 시·도 교육청을 대상으로 방사능 측정기 구입 여부와 식품방사능 검사 실시 여부 등을 조사한 결과 광주시교육청은 식품방사능 검사를 하지 않은 것으로 발표됐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강 의원은 “특히 경기도교육청과 서울교육청이 ‘학교급식 방사능 식재료 사용제한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는 등 각 지자체가 방사능 오염이나 안전 식재료 공급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있지만, 광주시교육청은 제도적 방비책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광주시교육청은 “지난달 10개 학교 10개 품종 9개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시료를 채취해 방사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방사능 불검출 통보를 받았고, 지난 7월 의원 발의로 ‘광주시 안전한 학교급식 운영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진선기 시의원은 “광주시교육청의 방과 후 프로그램이 다른 시·도에 비해 매우 저조하다”며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진 의원은 “시 교육청의 방과 후 프로그램은 1만2000여개로, 서울 6만8000여개, 부산 3만9000여개, 대구 3만8000여개, 인천 4만3000여개, 대전 2만3000여개, 울산 2만여개에 비해 매우 부족하다”며 “초·중·고 학생들의 끼와 재능, 창의성을 키우기 위해 정규교과 외에 다양한 방과 후 프로그램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송경종 시의원은 “광산구는 광주로 편입되면서 교육지원청이 없어지고, 서부교육지원청에 흡수되면서 과밀학급 등 많은 피해를 겪고 있다”며 “광주시 교육청이 국회에 건의해 광산교육지원청 설립을 위한 특례규정을 제정해야한다”고 시 교육청의 적극적인 문제해결을 촉구했다.

그는 특히 “‘광산구 교육지원청 원상회복’은 광산지역 학부모와 학생만을 위한 일이 아니라, 광주시 전체의 교육여건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안인 만큼, 시민의 열기를 모아 추진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