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전남 지역소식

특화거리 활성화 주차장 처방`썰렁’

특화거리 활성화 주차장 처방`썰렁’
공구·자동차거리 등 시설현대화사업 너도나도 추진
사업비만 17억~44억 “있으면 좋지만 고객 유치는 글쎄?”
이용률 낮아 주차난 해소 요원 “무분별한 조성 자제를”
강경남 kkn@gjdream.com 
기사 게재일 : 2013-10-31 06:00:00
 

 

▲ 29일 북구 운암동 공구의 거리 제1주차장. 지난 21일부터 유료로 운영방식이 바뀌면서 이용하는 차량이 급감해 인근 골목 주차난 해소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광주지역 일부 특화거리에 조성된 주차장들이 제값을 못하고 있다. 거리 활성화를 위한 시설현대화사업의 일환으로 많은 사업비를 들여 만든 주차장 대부분이 매출 증대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 일부 주차장은 이용률이 낮은데 반해 주택과 상가들이 오히려 ‘주차난’을 호소할 정도다.

 특화거리 업종의 특성 등 주차장의 필요성을 면밀히 따지지 않고 사업을 추진한 결과다.

 29일 광주시, 북구, 동구 등에 따르면, 광주의 ‘쇼핑의거리’는 총 14곳으로, 이중 충장로, 금남로 등 복합상권을 제외한 건축자재의 거리, 공구의 거리, 자동차의 거리, 전자의 거리 등은 일명 ‘특화거리(전문거리)’로 통한다.

 이중 자동차의 거리, 공구의 거리, 전자의 거리 등 일부 특화거리는 중소기업청이 지원하는 시설현대화사업을 통해 전문거리 활성화 목적으로 주차장을 조성했다. 동구 대인동 전자의 거리는 2010년 34억 원을 들여 주차장을 조성했고, 북구 임동 자동차의 거리는 2011년 11월 30억 원 사업비를 바탕으로 70면의 주차장과 화장실, 상인회 교육장 등을 설치했다. 북구 운암동 공구의 거리도 2011년 44억6000여만 원을 투입해 총 100면 규모의 1·2주차장을 조성했다. 북구 중흥동의 건축자재의 거리에도 17억 원을 들여 주차장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주차장 조성이 특화거리 활성화에는 그다지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우선 주차장의 고객 유인 효과가 크지 않다. 주차장이 있으면 편리한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오지 않던 손님을 찾아오게끔 하는 시설은 아니기 때문이다. 때문에 특화거리 상인들에게 “주차장 생겨서 손님이 늘었냐?”고 물으면 대부분이 고개를 젓는 게 현실이다. 자동차거리의 한 상인은 “주차장이 있으면 편리하긴 하지만 매출이 크게 늘어난 건 아니다”고 말했다.

 이에 특화거리 내 조성된 주차장 이용 고객의 대다수가 거리 내 상인들인 경우가 많은데, 상인들까지 주차장 이용에 소극적이어서 주차장이 휑한 곳들도 있다. 공구의 거리 주차장은 올해 3월부터 무료로 운영돼오다 지난 21일부터 유료주차장으로 바뀌면서 상인들의 이용률이 급격히 떨어졌다. 실제 이날 공구의 거리 주차장을 살펴본 결과 60면 이상 규모의 1주차장에는 고작 2대만이 주차가 돼 있었다. 그나마 접근이 용이한 2주차장에는 10대 정도의 차량이 보였지만, 곳곳이 비어 있었다. 오히려 주차장 인근 도로변이나 주택가에 주차된 차량이 더 많았는데, 최근 북구청 민원 게시판에는 “주차장이 있는데도 동네가 주차난에 시달린다”는 민원이 제기되기도 했다. 결국 44억 원짜리 주차장이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공구의 거리의 한 상인은 “월권이 4만 원인데, 이쪽 가게들의 특성상 가게마다 2~3대씩 차량을 가지고 있다”며 “매번 차를 주차장에 넣기도 불편하고, 비용도 부담돼 이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가게에 오는 손님들도 주차장을 잘 찾지 않아 100장에 3만 원하는 손님용 주차할인권도 구매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주차장들이 찬밥 신세가 된 것은 처음부터 주차장의 필요성을 따지지 않고 사업을 추진했던 결과라는 지적이다. 장시간 머무는 상담 고객이 적고, 구입한 물건을 멀리 들고 가기 힘든 업종이 모여있는 특화거리에선 주차장의 효용성이 높지 않은 게 사실이다. 특화거리 상인들도 “찾아오는 손님들 대다수가 20분 내 물건만 사고 떠나는 경우가 많다”며 “주차장을 사용하는 손님은 많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자동차를 가지고 가게를 찾아가야 하는 자동차의 거리도 소비자들에게 주차장의 메리트는 크지 않다.

 “상권 활성화를 앞세운 무분별한 주차장 조성을 자제해야 한다”는 것. 이와 관련, 동구 나무전거리는 일부 요구에도 자재를 바로 싣고 날라야 하는 업종의 특성을 고려해 주차장을 만들지 않기로 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북구 경제정책과 관계자는 “시설현대화사업은 이미 중소기업청이 사업을 승인하는 과정에서 면밀한 타당성 검토 절차를 거치고 있다”고 말했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