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전남 지역소식

직원 급여도 못주는 ‘국립’ 광주과학관

직원 급여도 못주는 ‘국립’ 광주과학관
완공 1년만인 오늘 개관
정부 운영비 안줘 ‘반쪽 운영’

2013년 10월 15일(화) 00:00
확대축소

 

15일 정식 개관하는 국립광주과학관 전경. /김진수기자 jeans@kwangju.co.kr
정부와 광주시의 운영비 갈등으로 개관이 지연〈광주일보 6월 18일자 1면〉됐던 국립광주과학관이 완공 1년 만인 15일 정식으로 문을 연다.

하지만, 정부에서 운영비 지급을 미루면서 직원들의 급여조차 연체돼 ‘반쪽 개관’에 그칠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은철 국립광주과학관장은 14일 기자 간담회에서 “운영비 등이 없어 직원 월급이 밀리고, 공사대금도 연체되고 있다”면서 “과학관 정식 개장이 시급하다고 판단해 15일부터 문을 열긴 하지만 정상적인 운영에는 다소 시일이 걸릴 듯하다”고 말했다.

최 관장은 “기획재정부에서는 광주시가 운영비 부담분(40%)을 먼저 내면 국가 부담분을 주겠다고 하고, 광주시는 올 12월 추가경정 예산 때 확보해서 주겠다고 한다”면서 “(기재부에서) 광주시의 (지급약속) 공문을 받아오라고 해 제출했더니, 이번에는 국비가 없다며 기다리라는 답변을 들었다”고 하소연했다.

이 같은 기재부의 반응은 같은 공공기관인 광주시를 믿지 못해 국비지원을 못하겠다는 것으로, 극히 이례적인 행정 행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일부에서는 호남권 자치단체에 대한 지역차별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실제 기재부는 광주과학관과 같은 조건으로 개관을 준비중인 대구과학관의 경우 운영비에 직원의 4대 보험료를 포함한 반면 광주과학관 운영비에서는 이를(연간 3억원) 제외해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낮아지는 불이익이 예상된다. 한 관계자는 “같은 시기에 완공된 동일한 과학관인데 대구는 되고, 광주는 안 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주장했다.

운영비 지급 지연에 따른 부작용은 심각하다. 최 관장은 “운영비 부족으로 지난 6, 7월 분 직원 급여가 연체됐다 8월에 지급됐고, 추석 명절이 낀 9월에도 전체 직원들이 급여를 받지 못했다”면서 “특히 과학관 공사 업체들에게 지급해야할 공사비마저 밀려 있어 난감하다”고 덧붙였다.

현재 광주과학관은 직원 급여 등 총 5억원이 연체된 상태로 일부 공과금이 미납되기도 했으며, 최근 신규직원 채용에 참여한 외부 심사위원의 심사비조차 제때 지급하지 못했다.

한편, 광주시 북구 오룡동에 있는 국립광주과학관은 844억원을 들여 지난해 10월 완공됐으나, 순수 운영비 부담 문제를 놓고 광주시와 정부가 마찰을 빚으면서 1년 동안 개관이 연기됐다. 광주시는 국립시설인 만큼 대전과 과천 국립과학관처럼 정부에서 연간 운영비(32억원)를 100%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개관 지연에 따른 지역민의 피해를 우려해 지난 6월 지자체가 40%를 부담할 것을 요구하는 정부안을 받아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