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작업 지지부진…애물단지 된 옛 남구청사 |
관리 소홀로 화재까지 범죄온상 전락 우려도 |
입력시간 : 2013. 08.27. 00:00 |
|
26일 광주 남부경찰에 따르면 지난 23일 오후 10시7분께 옛 남구청사 별관에서 화재가 발생해 20여 분만에 진화됐다. 불이 난 별관은 지난 4월 백운동 신청사로 이전을 완료한 뒤 출입문이 모두 잠겨 있었고 전기 설비까지 모두 차단된 상태여서 방화 가능성이 제기됐다. 감식에 나선 경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들은 불의 발화점을 별관 유리문 출입구로 추정했지만 원인에 대해서는 결론을 내지 못했다.
경찰은 현장에 담배꽁초와 생활쓰레기 등이 발견되지 않아 실화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출입문과 전기 설비까지 차단된 상태에서 불이 났기 때문에 방화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화재와 관련해 남구청 측의 관리 소홀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당시 옛 청사 본관에는 남구청 직원 2명이 야간 당직근무를 서고 있었지만 화재 발생 사실을 알지 못했다. 불을 최초 발견ㆍ신고한 이는 인근 아파트에 사는 A(16)군이었다. 정작 당직 중이던 남구청 직원들은 A군이 119에 신고한 뒤 소방차량 10대가 현장에 도착한 뒤 달려 나왔고, 그제서야 화재 사실을 파악한 것으로 전해졌다.
광주 남구는 이번 화재와 관련해 "옛 남구청사 관리는 낮에는 청원경찰이,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까지 구청 직원 2명이 교대 근무를 하면서 당직을 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불이 난 기사 대기실의 경우 조립식 가건물로 지어져 출입문이나 창문 등을 파손할 경우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해 가출 청소년의 탈선장소나 노숙자의 집결지로 악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주민들은 "옛 남구청사 매각작업이 지연되면서 이곳이 범죄의 온상으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 크다"며 "가건물 철거 및 출입통제 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화재가 발생한 가건물이 유해물질로 지정된 석면이 함유된 자재로 지어진 것으로 드러나, 추가 화재발생시 유독성 물질 확산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남구청 측은 "당초 기사 대기실 등으로 활용된 옛 청사 별관 철거를 내부적으로 검토했으나 추가적으로 예산 편성을 해야하기 때문에 진행하지 못했다"며 "철거 문제는 향후 청사 매각자가 관여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글ㆍ사진=주정화 기자 jhjoo@jnilbo.com
옛 남구청사 부지 매각 어떻게
남구청은 3월부터 최근까지 4차례 공개매각을 실시했으나 응찰자가 없어 유찰됐다. 3월에 제시된 최저 입찰가는 337억869만5310원이었지만 2차례 유찰되면서 10% 낮아진 303억9182만5770원으로 감액됐다. 남구청은 수의계약이나 광주시도시공사와의 공동개발 후 매각 등 다각적인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광주,전남 지역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생 커녕 지역상권 위협하는 농협 (0) | 2013.08.27 |
---|---|
광주교도소 부지 민주인권센터 조성 ‘차질 빚나’ (0) | 2013.08.27 |
무등산 관리’ 인력 도시공원에 투입하자 (0) | 2013.08.26 |
남악신도시 일대 목포·무안 난개발 우려 (0) | 2013.08.26 |
하나로마트 독식 반대 (0) | 2013.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