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울뿐인 ‘신재생에너지 메카’ 전남
태양광 32%·풍력 60%·조류 99% 생산하고도
기반시설 부족 에너지 자원 낭비·민간투자 시들
기반시설 부족 에너지 자원 낭비·민간투자 시들
2014년 09월 01일(월) 00:00
태양광, 풍력, 조류 등 신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전남에서 생산된 전력이 대부분 지역 내에서 소비되지 못하고 있다.
인근에 대규모 전력수급시설이 없기 때문으로, 이들 전력을 수도권 등지에 내보내는
송전선, 변전소마저 크게 부족해 에너지 자원 낭비, 민간투자 저조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남도의 요구로
한국전력이 최근 변전소의 처리 용량을 늘리는 ‘땜질 처방’에 나섰으나,
채 한 달도 안 돼 일부 변전소의 용량이 초과하는 등
전력 생산 및 공급 시스템 자체의 대폭 수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31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전남지역에서 생산되는
태양광발전소의 전력은 전국 생산량의 32%, 풍력은 60%, 조류는 99% 등을 차지하고 있다
. 전국에서 가장 긴 일조시간, 해안가의 강한 바람, 울돌목의 유속 등
신재생에너지 자원이 곳곳에 산재해 전남이 신재생에너지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전남에서 생산된 신재생에너지의 전력을 송수신하는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지역 내 한국전력의 변전소 45곳의 주변에서만 전력이 생산되고 있다.
광주·전남지역에 신재생에너지 생산 전력수급 시스템이 갖춰지지 못한데다
한빛원전에서 생산된 전력으로도 충분해 신재생에너지 생산 전력 90% 이상을 수도권 등지로 공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변전소 용량 부족으로 ‘쟁탈전’까지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송전선이나 변전소 설치에 대규모 예산 투자가 선행돼야 하는데,
민간업체들은 아직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그 이유다.
올 들어 전남도는 154㎾ 규모의 변전소 38곳 가운데 곡성·해남·화원·영암·영광 등 12곳의 용량이 초과
, 더 이상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 생산이 불가능해지자 정부와 한국전력 측에 대책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뒤늦게 지난 8일 ‘송배전용 전기설비 이용규정’을 개정, 변전소당 용량을 기존보다
최대 35MW(25%)까지 높였다.
하지만 채 한 달도 안 돼 변전소 5∼6곳의 용량이 바닥난 것으로 전남도는 파악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민간투자자와 전남도가 늘어난 용량을 서로 차지하려고 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특히 이 같은 현상은 태양광과 풍력 자원이 모두 풍부한 영광, 영암 등지에서 심각하다.
영광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민간투자자들이 100억원 규모의 자체 예산을 마련해 민간 변전소를 설립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도 관계자는 “한빛원전에서 생산되는 전력도 광주·전남에서 쓰고 남아
나머지는 모두 수도권으로 가고 있다”며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반시설 부족으로,
민간업체의 투자도 시들해지고, 자원 낭비도 심각해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전력 수급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민간투자자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거래가격이 전력거래소에서 매년 3∼5%씩 상승하면서 투자 가치가 높아지고,
잇따르는 원전 사고로 인해 신재생에너지의 생산 및 공급 확대가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정부나 한국전력의 기반시설 투자는 이를 뒤따르지 못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와 관련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일단 변전소의 용량을 늘려놓으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
후속 대책은 신재생에너지 수급과 관련 연구용역을 통해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전력 생산해도 지역소비 안돼 … 변전소 등 인프라 확충 절실
전남지역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하려면
2014년 09월 01일(월) 00:00
|
회사원인 정모(45·광주시 서구 치평동)씨는 최근 솔깃한 제안을 받고 고민중이다. 전남의 한 섬에 태양광발전소를 짓는데, 그 부지 가운데 일부를 분양받은 뒤 발전소에 임대해주고, 15년 후 자신의 부지에 설치된 태양광시설을 인도받는 조건을 제안받은 것이다.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의 거래가격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어 매달 500만원 이상의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것이 투자제안업체의 주장이다.
지난 8일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침 개정으로 영광에 설치된 변전소의 용량이 21MW(메가와트) 늘었다. 이에 지난 2011년부터 영광에 풍력시스템 테스트베드를 운영중인 전남도는 이곳의 업체들을 위해 증가한 용량 모두를 확보하려 했으나 인근에 풍력발전소를 설립한 민간투자업체 역시 한국전력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절실했던 전남도와 민간업체는 최근 이를 반반씩 나눠 사용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만큼 도와 업체는 손해를 본 셈이다.
신재생에너지 메카인 전남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그에 적합한 기반시설을 갖추지 못해 정부의 투자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신재생에너지로 인해 생산되는 전력을 인근에서 수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신재생에너지가 변전소를 통해 수도권 등지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전력 낭비가 뒤따르고, 지역발전과는 관계없는 소모적인 시설 설치에 국가예산이 투입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31일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지역에는 태양광 2185곳(설비용량 53만1182kW), 풍력 9곳(2만300kW), 소수력 17곳(1만1351kW), 매립지가스 4곳(6458kW), 조류 3곳(3110kW), 폐기물 3곳(850kW), 바이오가스 2곳(344kW) 등 7개 분야 2223곳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소(57만3595kW)가 설치돼 있다. 그러나 이 가운데 가동중인 곳은 1254곳(33만6149kW)에 불과해 가동률은 절반을 간신히 넘기고 있는 수준이다.
이처럼 막대한 자금이 투자된 신재생에너지 관련 발전소의 가동률이 낮은 원인은 송전선, 변전소 등 전력계통 문제, 발전소 가동 비용에 미지치 못하는 저수익 구조, 소규모 민간투자업체의 지속적이지 못한 투자 등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인근에 송전선, 변전소 등이 없는 경우 생산된 전력을 곧바로 쓰지 못하면 그대로 버려질 수밖에 없어 한국전력의 변전소 주변에만 우후죽순 신재생에너지 관련 발전소들이 들어서고 있다.
노후대책 가운데 하나로 일반인에게 각광을 받은데 이어 포스코가 15년 기부채납 조건으로 470억원을 들여 전남지역 10개 시·군 30곳의 공공기관에 태양광발전소를 설치하는 등 대기업들의 투자도 바라볼 수 있지만 지역 내에서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소비하거나 외부로 공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이 미흡해 발목을 잡고 있는 셈이다. 특히 태양광과는 달리 전력생산시간이 불특정한 풍력, 조류 등의 경우 기반시설이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영암 변전소의 경우 최근 늘어난 40MW 용량 모두 풍력에 사용하기로 하면서 태양광 등 다른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추가 투자는 사실상 어렵게 됐다.
이러다보니 전체 전력 생산량 가운데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고작 2%에 불과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정부가 매년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늘려간다고 말만하기보다 그에 맞는 기반시설을 가장 자원이 풍부한 곳에 집중설치하고 전력이 인근에서 소비할 수 있게 하는 체계를 구축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투자하는 민간업체에 대한 인센티브 도입 등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높은 수익 보장이 어려운 가운데 송전선이나 변전소 등 기반시설도 갖춰지지 못한 상태에서 대규모 투자를 이끌어내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 민간업체는 “평범한 중소기업이 현재의 여건에서 5년 이상 미래를 내다보고 신재생에너지에 투자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기반시설은 정부, 관리·운영은 한국전력, 행·재정적 지원은 지방자치단체 등 역할 분담을 통해 비전을 보여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 8일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침 개정으로 영광에 설치된 변전소의 용량이 21MW(메가와트) 늘었다. 이에 지난 2011년부터 영광에 풍력시스템 테스트베드를 운영중인 전남도는 이곳의 업체들을 위해 증가한 용량 모두를 확보하려 했으나 인근에 풍력발전소를 설립한 민간투자업체 역시 한국전력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절실했던 전남도와 민간업체는 최근 이를 반반씩 나눠 사용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만큼 도와 업체는 손해를 본 셈이다.
신재생에너지 메카인 전남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그에 적합한 기반시설을 갖추지 못해 정부의 투자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신재생에너지로 인해 생산되는 전력을 인근에서 수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신재생에너지가 변전소를 통해 수도권 등지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전력 낭비가 뒤따르고, 지역발전과는 관계없는 소모적인 시설 설치에 국가예산이 투입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31일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지역에는 태양광 2185곳(설비용량 53만1182kW), 풍력 9곳(2만300kW), 소수력 17곳(1만1351kW), 매립지가스 4곳(6458kW), 조류 3곳(3110kW), 폐기물 3곳(850kW), 바이오가스 2곳(344kW) 등 7개 분야 2223곳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소(57만3595kW)가 설치돼 있다. 그러나 이 가운데 가동중인 곳은 1254곳(33만6149kW)에 불과해 가동률은 절반을 간신히 넘기고 있는 수준이다.
이처럼 막대한 자금이 투자된 신재생에너지 관련 발전소의 가동률이 낮은 원인은 송전선, 변전소 등 전력계통 문제, 발전소 가동 비용에 미지치 못하는 저수익 구조, 소규모 민간투자업체의 지속적이지 못한 투자 등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인근에 송전선, 변전소 등이 없는 경우 생산된 전력을 곧바로 쓰지 못하면 그대로 버려질 수밖에 없어 한국전력의 변전소 주변에만 우후죽순 신재생에너지 관련 발전소들이 들어서고 있다.
노후대책 가운데 하나로 일반인에게 각광을 받은데 이어 포스코가 15년 기부채납 조건으로 470억원을 들여 전남지역 10개 시·군 30곳의 공공기관에 태양광발전소를 설치하는 등 대기업들의 투자도 바라볼 수 있지만 지역 내에서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소비하거나 외부로 공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이 미흡해 발목을 잡고 있는 셈이다. 특히 태양광과는 달리 전력생산시간이 불특정한 풍력, 조류 등의 경우 기반시설이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영암 변전소의 경우 최근 늘어난 40MW 용량 모두 풍력에 사용하기로 하면서 태양광 등 다른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추가 투자는 사실상 어렵게 됐다.
이러다보니 전체 전력 생산량 가운데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고작 2%에 불과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정부가 매년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늘려간다고 말만하기보다 그에 맞는 기반시설을 가장 자원이 풍부한 곳에 집중설치하고 전력이 인근에서 소비할 수 있게 하는 체계를 구축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투자하는 민간업체에 대한 인센티브 도입 등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높은 수익 보장이 어려운 가운데 송전선이나 변전소 등 기반시설도 갖춰지지 못한 상태에서 대규모 투자를 이끌어내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 민간업체는 “평범한 중소기업이 현재의 여건에서 5년 이상 미래를 내다보고 신재생에너지에 투자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기반시설은 정부, 관리·운영은 한국전력, 행·재정적 지원은 지방자치단체 등 역할 분담을 통해 비전을 보여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광주,전남 지역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갑질’ (0) | 2014.09.01 |
---|---|
이주노동자들 학대 ‘여전’ (0) | 2014.09.01 |
대학가 원룸 건물주 ‘횡포’ 심각 (0) | 2014.08.31 |
윤장현 시장 측근 3인방, 기대감보다 우려감이 높은 이유 (0) | 2014.08.31 |
푸른길 이용시민 67% “푸른길 확대하고 연결해야” (0) | 2014.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