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하철 역장 전문성 상실·방만 운영" |
공공운수노조, 비정규직 양산 민간위탁 중단 촉구 민간인·공무원 출신 자리보존용 또다시 연임 유력 |
입력시간 : 2014. 06.18. 00:00 |
|
특히 시민의 안전을 담보해야 하는 지하철 역 관리 업무의 총책을 광주도시철도공사가 검증되지 않은 역장에게 맡겨 퇴직공무원·민간기업 출신자 등 비전문가들의 자리보존용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위탁역장 선발은 전문성 확보가 중시되기 보다는 광주시 퇴직 공무원들로 채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도시철도공사에 따르면 올해 7월부터 2016년 6월 30일까지 역무운영을 맡을 사업자 9명을 선발하기 위해 후보자 18명을 발표한 상태다.
18명의 후보자 가운데 역무유경험자는 12명으로 이들은 현 역장들이거나 전임 역장들이었다.
하지만 이들의 전직을 보면 퇴직한 시 공무원, 하이마트, 삼성 대리점 등 지하철 업무와는 무관했다.
현 역장들 역시 14명 가운데 3명만이 도시철도공사출신이며 나머지는 시 공무원들과 민간기업 출신들로 채워져 있다.
많은 후보들이 전·현임 역장들인 탓에 이대로 선발이 마무리되면 연임하는 역장들도 상당수에 달할 전망이다.
역무원들은 이들이 특별한 업무도 없이 역장으로 장기 근무하며 운영이 방만하게 이뤄질 것을 우려했다.
이날 시위에 참여한 한 역무원은 "역 운영비 사용내역서를 확인한 결과 실제 있지도 않은 사용내역을 적는 등 운영비 사용처가 불투명하고 방만했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지난해 강은미 당시 시의원에게 제출됐던 민간위탁역 운영비 사용내역을 공개했다.
사용 내역에는 다른 역장 자녀 결혼에 보내는 축의금, 역장협의회비, 도시철도공사 본사 직원의 경조사에 보내는 비용 등도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역무원들은 "사무용품비와 커피 등의 항목으로도 실제보다 많은 금액이 지출된 것으로 나오며 실제 구매하지 않은 물품에 대한 지출비도 포함돼 있다"며 "또 한달에 40~50만원은 구체적인 내역이 없는 항목으로 지출됐다"고 주장했다.
역무원들은 또 이같은 민간위탁 운영으로 인해 비정규직이 양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역장들은 수천만원의 연봉을 받는 반면 민간위탁 역무원들은 한달에 기본급 108만원으로 나타났고, 역장이 바뀔 때마다 근로계약서를 체결하기 때문에 호봉도 인정되지 않는다.
한 사례로 근무한지 6년 차인 역무원은 야간까지 꼬박 새며 근무해도 수당을 합쳐 한달 월급이 158만원에 머물고 있다.
공사 직영역인 소태, 평동역의 역무원들과 민간위탁역 역무원들의 처우도 차이가 난다.
소태, 평동역의 역무원들은 호봉을 인정받는 것은 물론 차량이 운행하지 않는 오전 12시부터 오전 4시 30분까지 휴식을 취할 경우 휴식시간 수당을 받지만 민간위탁역 역무원들은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노조의 이같은 주장에 대해 광주도시철도공사는 이날 오후 해명을 내고 "근로계약서를 역장이 바뀔 때마다 체결하는 것은 사실이나 전원 고용승계하기 때문에 고용 불안은 근거가 없다"고 반박했다.
또 "민간위탁역장이 전문성이 없다는 것 역시 안전 분야 평가에서 전국 1위를 차지하는 등 시민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서충섭기자
'광주,전남 지역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산구 월곡동 고려인마을 얼마나 열악하기에 … (0) | 2014.06.23 |
---|---|
임대아파트 갑작스런 분양 전환 … 세입자들 날벼락 (0) | 2014.06.21 |
전교조 '운명'은… '법외노조' 19일 판결정부 (0) | 2014.06.17 |
목포시 특혜사업 의혹 규명 1인 시위 (0) | 2014.06.17 |
주민 휴식’ 근린공원 범죄온상 우려 (0) | 201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