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 번거롭게 하는 동구 ‘스쿨존 지킴이’ 사업
“수행기관 방문해 출퇴근 확인하고 근무지 가라”… 논란
2014년 04월 08일(화) 00:00
광주시 동구가 노인일자리 사업의 하나로 진행중인 ‘스쿨 존 교통안전 지킴이’ 사업이 참여 노인들의 근무지 출·퇴근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매일 수행 기관을 직접 방문토록 해 융통성 없는 행정이라는 지적이다.
동구는 7일 만 65세 이상 노인 일자리 사업인 ‘스쿨 존 교통안전 지킴이’ 참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근무지 출·퇴근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며 매일 근무지에서 사업 수행기관인 (사)대한노인회 광주동구지회로 이동, 명부에 서명한 뒤 출·퇴근할 것을 지시했다.
‘스쿨 존 교통안전 지킴이’ 사업은 노인들의 소득 창출, 활발한 사회참여를 통한 건강한 노후생활을 보장하자는 취지로 진행되는 노인 일자리 사업 중 하나다. 65세 이상 노인 120명이 동구 지역 장원초등학교 등 10개 초등학교 앞길에서 하루 3시간씩 교통지도 및 등·하굣길 안내 활동을 펼치며 한 달(36시간) 급여로 20만원을 지급받는다.
동구 출·퇴근 확인 방침대로라면 노인들은 출·퇴근 할 때마다 시내버스를 수차례 갈아타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할 뿐 아니라 들어가는 교통비 등을 고려하면 자칫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주거지가 학동, 근무지가 운림동 초등학교라면 해당 노인은 학동에서 동명동에 있는 (사)대한노인회 광주동구지회 사무실까지 출근해 서명한 뒤 다시 운림동으로 시내버스를 타고 가 교통 안내 활동을 벌인 뒤 다시 동명동으로 옮겨 서명한 뒤 퇴근해야 한다는 얘기다.
하루 평균 네 번 시내버스를 타는데 현금으로 1200원씩 4800원이 들고 한 달(12번 출·퇴근 기준)이면 5만7600원의 비용이 드는 것을 고려하면 애초 노인들에게 경제적인 도움을 주겠다는 사업 취지와도 맞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서구·북구 등 다른 지역의 경우 해당 근무지 조장이 조원들의 출·퇴근 여부를 확인하고 일주일에 두 차례 이상 자치단체 공무원이 직접 현장을 돌며 출·퇴근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과 대조적이다.
120명의 노인들이 30개 초등학교에서 스쿨존 지킴이 활동을 하고 있는 북구의 경우 팀당 2∼6명씩 나누고 조장이 조원들의 출·퇴근 여부를 확인, 전화로 보고하도록 했고 광산구는 사업 참여자들에게 출·퇴근 일지를 나눠주고 서명하도록 한 뒤 매달 한 차례 수행기관에서 확인을 받도록 하고 있다.
동구 관계자는 “다른 구처럼 일정 금액의 수당을 주고 조장을 선임한 뒤 조원들을 관리토록 했는데, 서로 조장을 하겠다는 노인들이 많아 문제가 됐다”면서 “형평성 차원에서 직접 방문, 출·퇴근 여부를 확인받을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동구는 7일 만 65세 이상 노인 일자리 사업인 ‘스쿨 존 교통안전 지킴이’ 참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근무지 출·퇴근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며 매일 근무지에서 사업 수행기관인 (사)대한노인회 광주동구지회로 이동, 명부에 서명한 뒤 출·퇴근할 것을 지시했다.
‘스쿨 존 교통안전 지킴이’ 사업은 노인들의 소득 창출, 활발한 사회참여를 통한 건강한 노후생활을 보장하자는 취지로 진행되는 노인 일자리 사업 중 하나다. 65세 이상 노인 120명이 동구 지역 장원초등학교 등 10개 초등학교 앞길에서 하루 3시간씩 교통지도 및 등·하굣길 안내 활동을 펼치며 한 달(36시간) 급여로 20만원을 지급받는다.
동구 출·퇴근 확인 방침대로라면 노인들은 출·퇴근 할 때마다 시내버스를 수차례 갈아타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할 뿐 아니라 들어가는 교통비 등을 고려하면 자칫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주거지가 학동, 근무지가 운림동 초등학교라면 해당 노인은 학동에서 동명동에 있는 (사)대한노인회 광주동구지회 사무실까지 출근해 서명한 뒤 다시 운림동으로 시내버스를 타고 가 교통 안내 활동을 벌인 뒤 다시 동명동으로 옮겨 서명한 뒤 퇴근해야 한다는 얘기다.
하루 평균 네 번 시내버스를 타는데 현금으로 1200원씩 4800원이 들고 한 달(12번 출·퇴근 기준)이면 5만7600원의 비용이 드는 것을 고려하면 애초 노인들에게 경제적인 도움을 주겠다는 사업 취지와도 맞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서구·북구 등 다른 지역의 경우 해당 근무지 조장이 조원들의 출·퇴근 여부를 확인하고 일주일에 두 차례 이상 자치단체 공무원이 직접 현장을 돌며 출·퇴근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과 대조적이다.
120명의 노인들이 30개 초등학교에서 스쿨존 지킴이 활동을 하고 있는 북구의 경우 팀당 2∼6명씩 나누고 조장이 조원들의 출·퇴근 여부를 확인, 전화로 보고하도록 했고 광산구는 사업 참여자들에게 출·퇴근 일지를 나눠주고 서명하도록 한 뒤 매달 한 차례 수행기관에서 확인을 받도록 하고 있다.
동구 관계자는 “다른 구처럼 일정 금액의 수당을 주고 조장을 선임한 뒤 조원들을 관리토록 했는데, 서로 조장을 하겠다는 노인들이 많아 문제가 됐다”면서 “형평성 차원에서 직접 방문, 출·퇴근 여부를 확인받을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광주,전남 지역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말 새 아파트 맞나요” (0) | 2014.04.09 |
---|---|
생활 속 민주주의 실현"…5ㆍ18 34주년 행사위 출범 (0) | 2014.04.09 |
혁신도시 광주~나주간 버스 답답 (0) | 2014.04.08 |
목포시향 단원들 거리 음악회로 시민과 교감 (0) | 2014.04.07 |
문화전당 앞 두 주차장 호객행위 ‘눈살’ (0) | 2014.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