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밀양 송전탑 갈등으로 불거진 문제 중 하나는 고압송전선로의 전자파로 인한 주민 건강권 침해 여부다. 환경·의학전문가는 암 유발 가능성을 주장하는 반면 한전은 암 유발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양측 모두 세계보건기구(WHO)를 근거로 들면서 각각 다른 해석을 하고 있다. 환경보건시민센터·서울대 보건대학원 직업환경건강연구실·환경운동시민연합 등 3개 단체는 지난 8일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 연건캠퍼스에서 ‘고압송전선로 전자파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기자회견을 열어 “이미 10여 년 전 세계보건기구가 고압송전선로 전자파가 암을 일으킬 수 있다고 공식 발표했는데, 정부가 반대 주민들이 근거 없이 반대하는 양 몰아붙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WHO의 발표는 전자파 4mG(밀리가우스) 이상에 노출 시 소아백혈병 위험도가 2배 증가한다는 연구결과 등에 따른 것”이라며 “AM라디오 송출소 주변 거주 어린이에게서 20㎞ 이상 떨어진 곳에 사는 경우보다 백혈병 발병률이 2.15배 높았다는 국내 연구 결과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환경부의 2009년 조사 결과 4mG 이상 전자파에 노출된 인구 추산은 우리나라 인구 전체의 5.49%로 220만 명에서 280만 명에 해당된다”며 “고압송전선로가 추가 건설되고 생활 속 전기기기 사용이 늘면서 전자파 노출이 많아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한국전력은 WHO 등 8개 국제기구와 54개국이 전자계를 12년 동안(1996∼2007년) 합동 연구한 결과 전자계의 노출로 암이 진전된다고 확증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반박했다. 한전은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극저주파 자계를 발암 확정물질이 아닌 발암 가능성을 고려하는 물질로 커피, 젓갈, 고사리 등을 동일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전은 2009년 전국 36곳의 765kV 고압송전선로 인근 전자파 노출조사를 했다. 한전은 “세계보건기구는 전자파 발암 인정 기준을 정한 바 없다”며 전자계 노출 국제 가이드라인인 2000mG보다 강화된 833mG를 채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식경제부가 지난 8월 공개한 ‘고압송전선로 주민 암 관련 건강영향 조사’ 보고서에 대한 해석도 엇갈린다. 보고서는 154/345kV 송전선로 주변지역의 암 발병 조사 연구 결과 송전탑 비노출 지역보다 암발병 위험도가 증가한 곳이 많았으나 유의미한 증가가 아니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백도명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전체적으로 조사설계와 분석, 해석에 문제가 많다”고 반박했다. |
'광주,전남 지역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의회 부의장이 염전근로자 ‘체임’ (0) | 2014.03.05 |
---|---|
광주 동구, 재개발정비 사업장 6곳 순조롭게 진행 (0) | 2014.03.04 |
송전선로에 갇힌 감옥 (0) | 2014.03.03 |
'경영난' 매장 업주 자살… 담양 죽제품 산업 어쩌나 (0) | 2014.03.03 |
무공천’ 安측 후보 ‘정치 미아’되나 (0) | 2014.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