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동구청 어수룩한 행정 또 '구설수'
장애인복지관 운전직 직원 차량없어 임용 미뤄
작년 견인 직영제 도입때도…똑같은 실수 '빈축'
말 많고 탈 많던 광주 동구장애인복지관이 개관을 앞두고 다시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광주 동구가 장애인차량을 운영할 운전직 직원을 선발했지만 정작 운전해야할 차량을 확보하지 못해 당장 임용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3일 동구에 따르면 구청은 지난해 12월 다음 달 개관되는 동구장애인복지관에서 근무할 21명을 선발하는 공고를 냈다.
이어 지난 달 16일 21명의 임용 예정자 가운데 17명을 1차로 뽑은 뒤 3일 2차로 선발된 4명에 대해 임용장을 수여했다.
이들 20명은 장애인복지관 시범 운영일인 17일을 앞두고 이미 업무를 개시한 상태다.
하지만 운전직 합격자 1명은 임용 대기상태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
이 운전원이 운전해야할 차량이 없기 때문이다.
이 같은 일이 벌어진 것은 동구의 어리숙한 행정이 자초한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해 각종 비리의혹과 파문으로 얼룩진 동구장애인복지관을 위탁에서 직영체제로 급하게 전환하는 과정에서 직원은 채용해 놓고 막상 어떤 장비를 사야할 지 일부 혼선을 빚으며 예산에 미처 반영하지 못하게 된 것.
동구는 지난 해 위탁기관 대표 비리 사실과 보은인사 의혹으로 뒤늦게 사회복지시설 위탁 업무를 할 수 있는 조례를 재정한 뒤 행복재단을 설립, 동구장애인복지관을 실질적으로 직영체제로 운영할 계획으로 업무를 추진했다.
하지만 작년 11월 기존 업무를 맡던 노인장애인복지과에서 일부 업무가 복지정책과로 이관된 후 업무분리 되자 주무부서인 해당과는 개관 날짜와 장비 파악에 혼선을 빚으며 차량 구입은 미처 생각하지 못해 이같은 상황을 초래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구 관계자는 "장애인 차량 구입에 대한 1억 5천만원의 예산을 올해 상반기 추경 때 따로 확보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상반기 정기 추경이 5월께나 이뤄질 것으로 보여 대기 상태인 운전직 임용 예정자는 빨라야 6월 이후부터나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동구의 성급한 추진이 빚은 웃지 못할 헤프닝은 작년에도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지난 해 5월 구는 불법 주·정차 견인업무를 사설 업체에 위탁하지 않고 직접 운영할 뜻을 밝히고 대대적 홍보에 나섰지만 견인차량을 확보하지 못해 임시방편적으로 2개월간 또다시 위탁운영한 바 있다.
동구의회 한 의원은 "집행기관이 행정을 계획적으로 집행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는 부분은 문제가 있다"며 "동구장애인복지관의 경우 인력은 구하고 그에 대한 예산은 반영하지 않은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정세영 기자 jsy@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방역인력 스트레스 (0) | 2014.02.04 |
---|---|
노인들 허술한 마스크 쓰고 방제작업 병원행 줄이어 (0) | 2014.02.04 |
운천저수지 일대 주차난 (0) | 2014.02.04 |
임을 위한 행진곡’ 7개월째 자문만 (0) | 2014.02.04 |
씨프린스 악몽 겨우 떨쳐냈는데… 주민들 망연자실 (0) | 2014.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