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전남 지역소식

교육부가 살린 교학사 교학사… 국민에 혼쭐”

교육부가 살린 교학사 교학사… 국민에 혼쭐”
`교학사 채택’ 18개교 교사·학생 등 반발에 잇단 철회
전교조 “잘못된 승인, 국민이 심판…교학사 사과하라”
강경남 kkn@gjdream.com 
기사 게재일 : 2014-01-06 06:00:00
 

 

▲ 역사 왜곡 논란의 `주범’ 교학사 고교 역사 교과서.

 교육부는 ‘교학사’를 최종 승인했지만, 국민들은 아니었다. 친일·독재 미화 등 역사왜곡 교과서로 ‘낙인’찍힌 교학사 고교 한국사 교과서가 사실상 학교현장에서 살아남기 어려울 전망이다. 전국적으로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했던 학교에 대한 교사와 학생, 학부모, 시민단체 등의 반발이 거세지면서 ‘채택 철회’가 이어지고 있는 것.

 5일 전교조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교학사 역사 교과서를 선택한 고교는 18개였으나 이날까지 전주 상산고 1곳을 남기고 모든 학교가 ‘교과서 채택 전면 재검토’ 또는 ‘철회’를 결정했다.

 교학사 교과서 채택에 대한 학교 내부 구성원과 지역 시민단체 등의 반발이 컸기 때문인데, ‘홀로 남은’ 전주 상산고 역시 교학사 채택을 고수하고 있으나 주변의 반대가 심한 상황이다.

 교육부는 지난해 12월 국민적인 비난에도 아랑곳 않고 ‘역사왜곡’ 논란을 일으킨 교학사의 고교 한국사 교과서를 최종 승인한 바 있다. 전교조를 비롯한 교육관련 단체들은 “여전히 교학사 교과서에는 5·18 축소, 친일·독재정권 미화 등 잘못된 부분이 많다”며 검정 취소를 요구했으나 교육부는 “2014년에 사용하게 될 전체 8종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수정·보완 작업이 완료됐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었다.

 교육부의 지원(?)을 등에 업은 교학사 교과서는 사립학교를 중심으로 채택되는 사례가 늘어갔다. 하지만 ‘교학사 교과서’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았다. 수원 동우여고의 한 역사 교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교학사 교과서 선택 과정에 외압이 있었다”며 “아이들에게 무척 부끄럽다”고 양심선언을 해 뜨거운 이슈가 되기도 했고, 다른 지역에서도 학생들이 “교학사를 채택한 우리 학교가 부끄럽다”는 내용으로 학교 내 대자보를 게시하는 등 ‘교학사 철회’ 목소리는 빠르게 확산됐다.

 전주 상산고까지 교학사 채택을 백지화할 경우 광주·전남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교학사 교과서 채택률 ‘0%’가 될 판이다.

 전교조 광주지부의 김병일 정책실장은 “교육부는 끝까지 교학사를 살리기 위해 무리수를 뒀지만, 결국 국민들의 심판을 통해 그러한 결정이 얼마나 어리석었는지 명백하게 증명된 것이다”고 지적했다.

 교학사 입장에선 단 한 곳의 학교에서도 선택받지 못할 경우 막대한 손해가 예상되는 상황, 김병일 실장은 “다시는 역사 교과서 만든다는 소리를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국적으로 교학사 채택과 관련한 반발이 일어난 것과 관련해 교육부의 ‘책임론’도 제기되고 있지만, 여기에 대해 교육부는 아무런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한편, 전교조 광주지부는 지난 3일 광주에서 교학사 교과서가 단 한 권도 채택되지 않은 것에 대해 “광주시민의 승리”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전교조는 “교학사는 역사왜곡 교과서 파동에 대해 국민 앞에 정중히 사과해야 한다”며 “스스로 한국사 교과서 출판을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육부에 대해서도 “일본 우익의 역사왜곡 교과서보다 더 친일적인 교학사의 교과서가 검정 취소되지 않고 발행되고 채택되어, 학생들의 책상에 놓인다면 역사를 바로 세우려는 전 국민의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임을 경고한다”며 “지금이라도 교과서의 품격을 떨어뜨린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에 대해서 즉각 검정을 취소하라”고 촉구했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