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박람회 재활용 대책 ‘제자리’ |
입력시간 : 2013. 09.11. 00:00 |
정부 의지 미흡…폐막 1년 넘었어도 답보
남해안 지역민들, 국회서 대책 마련 촉구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가 폐막된지 1년이 지났는데도 불구하고 박람회 시설과 부지에 대한 사후재활용 문제가 답보상태를 전혀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2012 여수세계박람회 부지와 시설에 대한 사후재활용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동서통합지대를 통한 남해안시대를 열기 위한 정부의 의지와 더불어 예산지원이 병행돼야 하는데도 이에대한 대책은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 강하게 제기됐다.
‘동서통합지대를 통한 영호남 공동발전 남해안지역사회’대표들은 이날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박근혜 정부의 동서통합지대가 여수박람회장의 부지와 전시 시설을 재산으로 활용, 실질적인 성과를 낼수 있도록 정부의 대책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통합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 실행하기 위한 거점과 기본계획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며 “현재 그 용도를 찾지 못해 방치되고 있는 여수박람회장의 부지와 시설, 그리고 여수박람회 준비를 위한 정부 선투자금 3,846억원을 재활용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수세계박람회 사후활용 방안과 관련, 박람회조직위원회는 지난 2012년 9월 정부지원위원회의 심의·확정을 통해 부지와 시설은 2년내 민간에 일괄 임대하고 박람회장을 해양관광리조트로 육성 하기로 방침을 정한 바 있다.
하지만 2012년 9월~11월 까지 사후활용 사업시행자 공모에 소규모업체 1곳만 입찰해 사업자 선정이 유찰됐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지난 2월 향후 박람회 사후활용 업무를 전담하는 2012여수세계박람회 재단을 설립한데 이어 인센티브 방안을 마련하고 사업자 모집 재공고에 나섰지만 10일 현재 입찰에 참여한 업체가 한군데도 없는 것으로 알려져 또다시 유찰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2012여수세계박람회 재단은 내년 예산과 관련해 214억원을 요구했다. 이 가운데 자체수입 35억원을 제외한 179억원을 확보한다는 방침이지만 최소 150억원은 확보해야 원활한 운영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해양수산부가 70억원을 확보하는데 그쳤고 기획재정부 역시 추가로 10~20억원을 합해 90억원 이상은 지원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예산이 최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현실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에서 여수를 해양레저특구로 지정하고 해양관광산업 집적단지를 조성해 해양관광산업의 중심지로 발전시키겠다고 공약했던 만큼 정부의 인식 전환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셈이다.
이와관련 주승용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은 “정부가 바뀌고 해양수산부가 부활했지만 막대한 비용이 투자된 여수세계박람회 부지와 시설은 불꺼진 항구로 전락했다”며 “남해안프로젝트와 연계해 박람회 부지에 대한 사후재활용이 잘 이뤄져 전초기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과 관심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광주,전남 지역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직 진행형 국제고 앞 아파트 건설 논란 (0) | 2013.09.11 |
---|---|
대인예술시장 만든 작가들 설 자리 잃어간다 (0) | 2013.09.11 |
[윤장현] "책임 있는 정치지도자" 강조 ... 시장 출마? (0) | 2013.09.11 |
남구 신·구 청사 난제 ‘속앓이’ (0) | 2013.09.11 |
광주 어린이집 CCTV 실태 (0) | 2013.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