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광여고 교사들 전교조 집단가입, 왜? | |||||||||||||||
재단 강요 대출금 상환 떠안아 … ‘사학 비리’ 덤터기 자구책 | |||||||||||||||
이호행 gmd@gjdream.com | |||||||||||||||
기사 게재일 : 2013-09-09 06:00:00 | |||||||||||||||
| |||||||||||||||
| |||||||||||||||
사학 비리의 대명사로 불리는 이홍하 이사장의 홍복학원 산하인 대광여고 교사 40여 명이 지난 6일 전교조에 가입했다. 홍복학원의 요구로 금융권서 대출 받아 이를 재단에 건넨 뒤 원리금 상환까지 떠안아 정신적 고통에 시달리던 교사 20여 명이 노조 가입 주축에 섰다. 특정학교 교사들이 이렇게 대규모로 전교조에 가입한 건 유례가 없는 일로, 이홍하 이사장 밑에서 착취당해온 교사들이 그의 구속을 계기로 자구책 마련에 나섰다는 해석이 나온다. 홍복학원 산하 다른 학교 교사들도 같은 피해를 당한 것으로 알려져, 이 재단 소속 교사들의 전교조 가입 행렬이 이어질 전망이다. 8일 전교조 광주지부에 따르면, 이홍하 이사장이 ‘교비 횡령’ 혐의 등 1000억 원대 비리로 구속된 학교법인 홍복학원 산하 대광여고 교사 43명이 지난 6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광주지부에 가입 원서를 제출했다. 대광여고 전체 교사 66명의 ⅔가 한꺼번에 노조에 가입한 것으로, 전교조는 “유례없는 일”로 보고 있다. 그만큼 교사들의 상황이 절박하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전교조와 대광여고 교사들에 따르면, 홍복학원 소속 교사들은 재단의 요구로 최저 5000만 원에서 최고 1억 7000만 원까지 금융기관에서 대출 받아 이를 재단에 입금했다. 원리금은 홍복학원에서 갚기로 약속했다. 교사들은 처음부터 찜찜했지만 권력관계에 있는 재단의 요구를 거절하기 쉽지 않아 대부분 대출에 동참했다. 그러다 지난 1월 이홍하 이사장이 구속되고, 이후 재단은 대출금을 상환하지 않고 있다. 재단이 원금은 커녕 이자도 갚지 못하자, 자신 명의로 대출된 돈의 상환은 교사 개개인의 몫이 돼버렸다. 이번에 전교조에 가입한 교사 43명 중 이처럼 부당한 대출로 피해를 보고 있는 이는 22명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가입원서를 제출한 대광여고 한 교사는 “대출을 갚느라 아이들 학원도 못 보내는 교사가 있고, 정도는 다르지만 빚 때문에 모두 허리띠를 죄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전교조 가입 원서를 제출한 대광여고 교사들은 조만간 전교조 분회를 창립하고 대출금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전교조 광주지부도 대광여고 사태 해결을 위해 적극 돕겠다는 입장이다. 김용태 전교조 광주지부장은 이날 대광여고 교사들과 만난 자리에서 “교사들이 도움을 요청하면 언제든지 달려와 돕겠다”고 밝혔다. 홍복학원 산하 교사들은 전교조 가입 전인 지난 6월말 기자회견을 열어 재단에 '교사들에게 빌린 돈을 즉각 갚으라’고 촉구하고, '대광·서진여고 대책위원회’를 꾸린 전력이 있다. 김병일 전교조 광주지부 정책실장은 “지금까지 홍복학원에선 이사장 비리 문제가 제기됐지만, (전교조)조합원이 없어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어려웠던 게 사실”이라며 “지금 법인 비리로 교사와 학생·학교의 명예가 실추되고 있는 만큼 할 수 있는 역량을 총동원해 이의 해결을 위해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홍복학원 이홍하 이사장은 1000억 원 대 교비횡령 혐의로 구속돼 1심에서 징역 9년을 선고받고 항소했다. 이호행 기자 gmd@gjdream.com
|
'광주,전남 지역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米친개방 안돼” 쌀쌀한 농심 … “米룰수 없다” 고민하는 정부 (0) | 2013.09.10 |
---|---|
서구의장이 구의원 5분 발언 막아 (0) | 2013.09.09 |
색깔론 망령… '문화 광주' 흔들 (0) | 2013.09.09 |
데드크로스 & 평생 미혼 (0) | 2013.09.04 |
고려인 지원 조례? 그럼 조선족은? (0) | 2013.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