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 53개교 `납’ 과다검출…철거·교체 `답보’ 타 시도교육청, 운동장 전면교체 움직임 활발 “광주교육청, 출입통제 등 안전조치부터 서둘러야 |
학교 우레탄 트랙 납 성분 파동이 전국을 떠들썩하게 하고 있는 가운데, 광주지역 해당 학교들에선 출입통제 등 안전조치마저 허술한 것으로 드러나 시교육청의 발 빠른 대처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광주지역 우레탄 트랙을 보유한 59개 학교에 대한 유해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무려 53개교에서 납(Pb) 등 중금속이 한국산업표준 기준치(90mg/kg) 이상 검출됐다.
각급학교별로는 초등학교 22개, 중학교 12개, 고등학교 17개, 특수학교 2개에서 우레탄 유해물질이 발견돼 우레탄 트랙 철거 또는 교체 필요성이 제기된 상황. 중금속은 소량이라도 인체에 축적되면 장기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학생들의 건강에 치명적이다.
이에 광주시교육청은 우레탄 트랙을 교체한다는 계획을 밝히고, 예산 확보에 나서는 모양새다. 시교육청 관계자에 따르면, 학교당 우레탄 교체 비용을 평균 1억 원으로 책정했을 때 총 53억 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는 시교육청이 감당할 수준이 아니다. 이에 시교육청은 교육부의 교부금만 기다리고 있는 실정. 하지만 정부는 전국적으로 300억 원의 특별교부금을 투입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마냥 여기에만 기대를 걸 수도 없다.
따라서 타 시도교육청이 발 빠른 대응에 나서고 있듯, 광주시교육청 주도의 후속조치가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울산시교육청을 비롯한 일부 교육청들에선 우레탄 시공업체에 책임을 묻거나 관련 행정절차 상에 문제가 없는지 조사하고 있다.
또 부산시교육청의 경우 해당 학교 94곳에 대해 연말까지 전면교체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부산시교육청은 예비비 40억 원을 우선 투입하고 교육부로부터 ‘지역현안사업 특별교부금’을 지원받아 나머지 예산을 충당한다는 계획이다.
경남도교육청은 해당학교 132곳의 학교 관계자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대규모 설명회를 열고, 흙(마사토) 운동장 교체를 약속했다.
광주지역 해당 학교들의 안전조치도 도마에 오르고 있다. 현재 해당 학교에는 운동장 출입 금지 라인이나 안내판 설치 등 통제가 이뤄진 상태다. 그러나 유해성에 대한 심각성을 안내하지 않는 등 허술한 체계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정의당 광주시당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해당 학교 운동장을 실태 조사한 결과 중금속검출 안내 표지판과 차단조치가 없는 학교가 구별 한 곳 이상씩 발견됐다.
이에 정의당 광주시당은 19일 관련 보도자료를 내고 “해당 사실을 알지 못하는 학생과 주민들이 운동장을 이용하고 있었다”면서 “이미 검출된 납 성분은 어쩔 수 없다 치더라도 즉각적인 사후안전조치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시교육청에는 “빠른 시일 내 예산을 확보해 트랙 교체에 다각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면서 “그 심각성을 학생과 지역사회에 즉시 공표하고 철저한 차단조치를 시행하라”고 촉구했다.
이와 관련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관련 공문을 해당 학교에 보낸 상태”라며 “지난해부터는 정부사업으로 학교 시설을 설치할 경우 교육청에서 실태 파악을 하고 있지만, 그 이전 학교들에는 학교장 재량에 따르는 것이어서 쉽지 않은 문제”라고 답했다.
'광주,전남 지역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서구 상무 광명메이루즈 사용검사 신속 처리키로 (0) | 2016.08.08 |
---|---|
광주극장, ‘마일스’ ‘에브리바디 원츠 썸!!’ ‘걸어도 걸어도’ 등 개봉 (0) | 2016.08.08 |
25살 패밀리랜드 놀이기구 노쇠화 골치 (0) | 2016.07.22 |
초등학교, 성적 따라 ‘달란트’ 지급 “비교육적 (0) | 2016.07.22 |
박지원, DJ를 세 번 부인하다 / 김의겸 (2) | 2016.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