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전남 지역소식

주민 "공동화 우려" 반대… 제동 걸린 북성중 이설

주민 "공동화 우려" 반대… 제동 걸린 북성중 이설
광주시의회 "심도있는 논의 필요" 의결 보류
교육청 "필요성 충분하다… 연내 의결 노력"
입력시간 : 2014. 10.14. 00:00


 

광주 북성중학교 이설문제가 도심공동화를 우려하는 지역 주민들의 반대를 이유로 광주시의회에서 제동이 걸렸다. 사진은 광주 북성중학교 전경. 김양배 기자 ybkim@jnilbo.com
63년 전통광주 북성중학교 이설문제가 광주시의회에서 일단 제동이 걸렸다. 도심공동화를 우려하는 지역 주민 반대가 주된 이유가 됐다.

광주시의회 교육위원회는 13일 지역 교육 현안 중 하나인 북성중 이설에 대해 "좀 더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며 의결을 보류했다. 의원들은 앞서 자체 간담회를 갖고 이설의 득과 실을 따져본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내리고 안건만 상정한 채 심의나 의결은 일단 연기했다. '2016년 3월 개교'를 목표로 남구 효천2지구로의 이전을 추진했던 광주시교육청의 계획에도 어느 정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이날 시의회의 제동 이전까지만 해도 북성중 이설은 급물살을 타는 듯 했다.

교육부로부터 부지 매입비(110억원)와 시설비(177억원)를 확보했고, 학교운영위원과 교직원, 학부모 10명 중 8~9명이 이설에 찬성했다. 시교육청이 이해관계가 있는 인근 서림ㆍ수창ㆍ양동초를 포함한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했더니 83.6%가, 학교운영위원은 97.3%, 교직원은 99.3%가 북성중 이설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성중 총동문회도 "학교의 장기적 발전과 수업권 보장 등을 위해 학교를 옮기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공개적으로 이설을 촉구하기도 했다. 시교육청이 '북성중 이설 동의안'을 시의회에 제출한 배경이다.

이설 후 북성중 부지 활용에 대한 방안도 어느 정도 마련됐다. 시교육청은 광주예술고 이전, 진로교육체험센터 설립, 특수학교 설립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마련해 시의회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역 주민 반대'라는 복병을 만났다.

'북성중 이설은 도심 공동화 현상을 가중시킬 것'이고 '지역 재개발사업에 악영향이 우려된다'는 등의 이유에서 지역 주민들은 반대의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일부 시의원들의 반발도 영향을 미쳤다.

전진숙 의원(북구4)은 최근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도심공동화 현상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며 "학교의 학생수가 줄어드는 현상을 이유로 학교의 존폐를 논한다면 우리는 끊임없이 아니, 해년마다 폐교되어야하는 학교와 맞닿을지도 모른다"고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반재신 의원(북구1)도 5분 발언에서 "도심 공동화로 교육 환경이 파괴된 아이들의 어려움과 아픔을 이해하고 도움을 주려고 해야지 학교를 빼내가려고 해서는 안 될 일이다"고 반발한 바 있다.

결국 시의회 교육위원회는 주변 주민들의 반발 등을 고려해 일단 '숨고르기'를 택했다.

교육위 한 의원은 "제동이라기보다는 시교육청이 내놓은 대안에 대한 주민의견 수렴 등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의결을 보류한 것"이라며 "지역 주민의 충분한 의견 수렴을 한 뒤 다시 심의ㆍ의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시 교육청 관계자는 "지역 여론과 주민, 학교 구성원간의 이견으로 심의 단계에서 일단 멈췄지만, 이설의 명분과 필요성이 충분한 만큼 연내 의결이 가능하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라고 밝혔다.

홍성장 기자 sjh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