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미노스 문명, 크레타 문명을 만나본다.
그리스신화의 미노스왕의 이름을 따
크레타 섬에서 번성한 문명을
미노스 문명이라 칭하기도 한다.
서구문명은 유목적(nomadic) 문명이다.
본래 서구문명의 씨앗은 오리엔트에서 배태되었으나
그 중심은 끊임없이 이동했다. 그것도 서쪽으로...
그리스,로마를 거친 서양문명의 중심은
결국 유럽대륙의 끝자락 영국에 이르게 되며
현재는 유러피언의 후계국가인
미국에 이르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완벽한 문명의 서진이다.
이 유물들을 남긴크레타섬은 지리적으로
고대 그리스와 오리엔트의 가교 역할을 했고
자체적으로도 찬란한 문명을 꽃피웠다.
괴수 미노타우루스를 물리친 테세우스의 신화는
아테네가 한 때 크레타에 인신조공을 바치던 속국이었으며
테세우스가 미노타우루스를 처치한 것이야말로
크레타의 쇠퇴와 아테네를 위시한 그리스 본토로
문명의 빛이 옮겨간 것을 뜻한다.
Minoan Bull Leaper 이다.
황소를 넘는 사나이 쯤으로 번역될 수 있을까?
크레타 섬에서 출토됐다.
미노아 문명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청동기와 토기
'2010 Lond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영박물관-Nereid monument (0) | 2010.03.01 |
---|---|
대영박물관-페리클레스 (0) | 2010.03.01 |
대영박물관-또 다른 사자의 나라 (1) | 2010.02.27 |
대영박물관-이집트 컬렉션 (1) | 2010.02.27 |
대영박물관-박물관의 심장, 로제타 스톤 (0) | 2010.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