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선도지역 공모… 동구 “경쟁률 1:10 예상” ▲ 도심 쇠퇴현상을 겪고 있는 동구가 타개책으로 도시재생선도지역 공모를 신청했다. 지난 21일 열린 공청회에서 전문가들은 “동구만의 특색, 주민참여가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
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침체를 겪고 있는 동구가 도시재생선도지역 공모 준비를 본격화한다. 동구는 지난 21일 동구청 대회의실에서 ‘주민 및 관계 전문가 의견 수렴을 위한 도시재생선도지역 공청회’를 가졌다.
이날 공청회는 황희연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도시문화집단 CS 정성구 대표가 동구 도시재생선도지역 사업구상안을 발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조용준 전 조선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를 좌장으로 광주대학교 이명규 교수, 이화영 주민자치위원회 광주동구협의회장, 남승진 동아대학교 교수, 정철모 전주대학교 교수, 박헌조 산수동 주민자치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공청회는 지난해 12월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고 국토교통부가 도시재생선도지역 지정을 공모하면서 동구가 신청 전 의견수렴을 하기 위해 개최됐다. 동구는 ‘근린 재생형’에 신청할 예정이다. 근린재생형은 쇠퇴한 구도심 및 중심시가지 등의 활성화가 필요한 지역과 생활여건이 열악한 노후·불량 근린 주거지역을 다시 재생하는 사업이다. 근린재생형 지역 중 산수동·지산동·동명동 일부를 주거지 재생으로 선정했으며 문화전당 건립 후 자생적 상권 활성화 효과가 미치기 어려운 충장로 4·5가를 상업지 재생으로 신청해 재계발을 계획하고 있다.
동구는 도심공동화 현상으로 인구 유출과 함께 도시 쇠퇴수준이 점점 악화되고 있는 상황의 타개책으로 공모를 선택했다. 실제 인구 유출로 나타나는 가장 큰 문제점인 공폐가의 경우 동구는 611채로 동구지역 전체 주택 대비 1.47%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서구 0.35%(408채) , 남구 0.75%(598채), 북구 0.37%(654채), 광산구 0.27%(361채)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수치다. 또 충장로 5가에서는 상권 악화로 인근 주민들과 상인들이 자구책으로 화상경륜장 유치를 주장하고 나선 상황이다. 구는 이같은 당면 현안을 타개할 대책으로 도시재생선도사업 공모를 준비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실제 사업지역으로 선정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전국의 자치단체에서 신청이 밀려들 것으로 예상되는데, 정부가 선정하는 선도지역은 11개소 (근린재생형 9개소, 도시경제기반형 2개소)에 그치기 때문이다.
동구청 관계자는 “도시재생 사업 공모 경쟁률을 1대 10으로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지방선거까지 겹치면서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하지만 동구는 도시재생이 시급한 지역이며 광주 중심지역으로 파급효과가 큰 지역이라는 점을 어필해 사업을 따낼 방침이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동구가 도시재생선도지역 공모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주민의 참여를 어떻게 이끌어 낼 것인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남승진 교수는 “도시 재생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건 주민과 구청 간 협력체계”라며 “아무리 거창한 내용이 있어도 주민과의 협의 과정이 없으면 도시재생 사업은 결국 실패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구도심이 침체되면서 도시재생사업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가운데 이를 어떻게 유치할 것인가는 결국 주민에게 달렸다”면서 “돈을 주고 사업을 시행하면 단기적으로 끌고 갈 수 있지만 결국 한계점에 봉착하게 된다”고 밝혔다.
이명규 교수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다 눈독을 들이고 있는 이번 공모안에서 동구만의 특색을 어떻게 나타낼 것인지를 고민하라고 조언했다. 이 교수는 “남들도 문화공간, 주민과의 협력을 말하면서 공모를 준비한다”며 “동구가 공모를 따내기 위해서는 남들과 다른 점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긍정적인 점은 동구에 아시아문화전당이 들어오면서 동구만의 차별화를 나타낼 수 있는 점”이라면서 “이를 토대로 동구만의 특색을 키워야 한다”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산수동에서 공·폐가 사업을 할 때 동구청이 옛 추억을 살리자면서 건물을 리모델링해 놔두자는 의견이 있었다”면서 “하지만 주민들은 공·폐가로 불편한 점이 많아 철거를 주장했으며 현재 절반만 철거된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구가 도시 재생 사업을 하지만 정작 주민들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혼선이 생기는 점이 많다”면서 “산수동 주민들이 잘 살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해보고 사업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도시재생 선도지역 사업 공모는 다음 달 14일까지 국토교통부를 통해 신청받으며 4월, 평가와 심사를 거쳐 확정된다. 확정된 지역엔 매칭펀드 방식(국비 50%, 시비 25%, 구비 25%)으로 개소당 200억 원이 지원된다.
이호행 기자 gmd@gjdream.com
'광주,전남 지역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교원 광주로…수급 불균형 현실화 (0) | 2014.02.24 |
---|---|
U대회 아파트 공사 주민 안전은 없다 (0) | 2014.02.24 |
"교복값 왜 이리 비싸" 허리 휜다 (0) | 2014.02.24 |
'OT도 2학점'… 대학 신입생 환영식 '변신 중' (0) | 2014.02.24 |
순천 체벌 고교생 뇌사, 학교측 은폐 의혹 (0) | 2014.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