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전남 지역소식

광주교육청 고교배정, 학부모 불만”

광주교육청 고교배정, 학부모 불만”
입력: 2013.11.14 00:00

시의회 설문조사, 시민 등 78.9% ‘부정적’
시교육청 성적등급 도입후 강제배정 687명

 

지난해 강제배정 논란을 일으켰던 광주시교육청의 고교배정방식에 대해 이 지역 학부모들은 매우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부모들은 시교육청이 내세운 고교배정을 통한 공·사립 학교간 성적편차 해소보다는 근거리 배정과 학생들의 학교선택권 존중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광주시의회가 내놓은 ‘시민여론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이 지역 학부모들은 시교육청의 고교배정방식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다.
이번 설문조사는 시교육청이 지난해 고교배정방식에 공·사립간 학교 성적편차를 줄인다며 성적등급을 도입하면서 강제배정 인원이 687명이나 발생했고 일부 사립중에서 같은 법인 소속 고교에 1명도 가지 못하는 황당한 경우가 발생한 것을 계기로 추진됐다.
설문을 살펴보면 ‘현행 고교배정방식은 집과 멀리 떨어진 학교에 배정돼 불편을 초래한다’는 질문에 시민·학부모 78.9%가 ‘그렇다’고 답했다.
고교선택권을 제한한다’는 질문에 63.2%가 ‘그렇다’고 응답했으며 ‘성적이 우수한 학생만 유리하다’는 질문에도 57.7%가 동의해 부정적인 시각이 많았다.
‘공·사립간 성적편차를 줄여 고교 평준화에 기여할 것이다’는 질문에는 59.9%가 ‘그렇다’고 답해 긍정적인 시각을 보이기도 했다.
현행 고교배정방식의 개선안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전망이 강했다.
성적등급을 5단계에서 3단계로 완화하고 후지원 선택학교를 5개에서 9개로 늘리는 개선안에 대해 ‘강제배정 학생 수만 줄일 뿐 별효과가 없을 것이다’는 응답이 69.7%에 달했다.
‘개선안으로 배정가능고교가 적은 중학교 출신이 불이익을 받을 것이다’고 우려하는 학부모도 무려 72.6%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지역 학부모들은 고교배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 ‘근거리배정’이 50.5%로 가장 많고 다음은 ‘성적에 따른 학생들의 학교선택권 존중’(28.9%)이었다.
시교육청이 내세운 고교배정 기준 중 하나인 ‘성적편차 해소를 위한 우수학생 균등 배정’은 16.9%에 그쳤다.
학부모들은 학교간 학력격차 해소 방안으로도 현행 배정방식(23.9%)보다는 학력균등화를 위한 지원정책 마련(68.2%)을 더 선호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시의회가 여론조사기관인 폴인사이트에 의뢰해 중3·고1 학부모 1천900명과 시민 500명 등 2천5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5%에서 ±4.38%이다.

성적편차 해소보다 근거리 배정이 우선

 

광주 고교배정방식 학부모 불만 높아
79% “집과 멀어 불편” “개선안도 별 효과 없어”

2013년 11월 14일(목) 00:00
 
올해 초 무더기 강제배정 사태를 불렀던 광주시교육청의 성적을 고려한 고교배정방식에 대해 광주지역 학부모들은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부모들은 고교배정이 공·사립학교 간 성적편차 해소보다는 근거리 배정 등 합리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시의회는 13일 이같은 내용의 ‘광주시교육청의 고교배정방식에 대한 시민 여론조사’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올해 초 광주시교육청이 고교배정을 하면서 공·사립학교 간 성적편차를 줄인다며 성적등급을 도입, 687명의 강제배정 인원이 발생한 것을 계기로 추진됐다.

설문조사 결과, 올 초 시행한 고교배정방식에 대해 시민·학부모 78.9%는 ‘집과 멀리 떨어진 학교에 배정돼 불편을 초래한다’고 답했다. 또 63.2%는 ‘고교선택권을 제한한다’, 57.7%는 ‘성적우수 학생만 유리하다’고 부정적 의견을 피력했다. ‘공·사립간 성적편차를 줄여 고교 평준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질문에는 59.9%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피해 당사자였던 고1 학부모들은 더욱 부정적이었다. 10명 중 8명(79.4%)이 ‘불편을 초래했다’고 응답했고, 선택권 제한(66.1%)도 전체 응답률보다 2.9%포인트 높게 나왔다. 반면 고교평준화 기여는 52.5%만이 그렇다고 답해 상대적으로 불만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초 시행할 고교배정방식 개선안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전망이 강했다. 성적등급을 5단계에서 3단계로 완화하고 후지원 선택학교를 5개에서 9개로 늘리는 개선안에 대해 ‘강제배정 학생 수만 줄일 뿐 별효과가 없을 것이다’는 응답이 69.7%에 달했다. 또 ‘배정가능 고교가 적은 중학교 출신이 불이익을 받을 것이다’고 우려하는 학부모도 무려 72.6%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들은 고교배정에서 강제적인 공·사립간 격차 완화를 모색하기보다는 ‘근거리배정’(50.5%)과 ‘학교선택권 존중’(28.9%)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광주시교육청이 내세운 고교배정 기준 중 하나인 ‘성적편차 해소를 위한 우수학생 균등 배정’은 16.9%에 그쳤다.

학부모들은 학교간 학력격차 해소 방안에 대해 현행의 ‘성적을 고려한 강제적인 배정’(23.9%)보다는 ‘공립학교 지원정책 강화를 통한 학력 균등화’(68.2%)를 더 선호했다.

박인화 광주시의회 교육위원회장은 “고교배정방식 개선에 대한 불만이 매우 높은데도 광주시교육청이 이를 계속 무시하고 있다”며 “고교배정 시기가 곧 다가오는 만큼 시급히 여론을 수렴해 정책을 수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광주시의회가 여론조사기관인 폴인사이트에 의뢰해 지난달 16일부터 25일까지 10일간 광주지역 중3·고1 학부모 1900명과 시민 500명 등 총 2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학부모 ±2.25%, 시민 ±4.38%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