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싱거워지는 광주 김치산업 |
막대한 투자에도 내수 줄고 올 수출은 '제로'… 대부분 영세 업체 경쟁력 한계 |
입력시간 : 2013. 10.08. 00:00 |
|
7일 광주시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에 따르면 광주지역의 김치 수입은 꾸준히 느는 추세다. 2010년 48톤에 2만5168달러 어치였지만, 2011년에는 144톤 8만1411달러, 2012년 321톤 16만4258달러로 크게 늘었다. 올 들어서도 8월말 기준 168톤에 9만3363달러 어치를 수입했다.
반면 광주지역의 김치 수출 실적은 초라하다. 2010년 14톤에 7만 달러 어치였던 수출량은 2011년 2톤에 1만4000달러로 급감했다. 지난해에는 3톤에 1억8000달러로 전년도보다 조금 늘기는 했지만,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올 8월말 현재 광주 김치 수출 실적은 '0'이다.
지역의 김치생산 업체의 영세성이 가장 큰 이유다. 현재 광주지역 김치 제조 가공업체는 16개소에 불과하다. 전국 931개소의 1.7%다. 그나마도 대부분 영세한 규모의 업체들뿐이다. 전국 51인 이상 업체 수가 121개소인 것에 비해 광주는 전무하다. 광주지역 제조 가공업체 평균 인력은 고작 13명에 불과하고, 전체 업체의 70% 이상이 자본규모 2억원 미만이다. 체계적인 생산공정 관리는 물론 다양하고 세련된 포장재 개발이나 상품의 차별화, 표준 제조기법 개발, 맛의 균일화 등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
광주시는 김치 명품화ㆍ산업화에 공을 들이고 있다. 광주 김치의 전국화ㆍ세계화를 도모하기 위한 '김치산업육성 5개년 계획'을 마련해 실행 중이다. 김치타운 건립에도 이미 347억1400만원이 투자됐으며 김치세계화 및 발효식품 과학화를 위해 총 183억원을 들여 김치연구소도 만들었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광주 김치는 여전히 제자리걸음인 셈이다.
'광주,전남 지역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구청 `청사 임대’ 급급 재래상권 뒤통수 (0) | 2013.10.08 |
---|---|
한방병원 전국 최다…광주는 왜? (0) | 2013.10.08 |
교육감 선거 '후보 양보' 조사 착수 광주시선관위 (0) | 2013.10.08 |
충장축제 불법노점상 근절 물 건너가나 (0) | 2013.10.08 |
복지예산 확보 지자체 허리휜다 (0) | 201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