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전남 지역소식

6·25·월남전 참전 명예수당 현실화를"

6·25·월남전 참전 명예수당 현실화를"
입력시간 : 2014. 06.13. 00:00


광주 예산부족 전국평균 5만원 못미쳐 관심호소

나라위한 자부심 커녕 대중교통 지원도 못받아

광주 지자체들이 6·25 참전단체들에 지급하는 참전명예수당이 17개 광역 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낮은 축에 속하지만 예산문제 등으로 4년째 현실화되지 않고 있어 유공자들이 병원비와 후유증으로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다.

더욱이 참전용사들은 대개가 고령인 데다 특별한 수입이 없어 참전명예수당으로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 유공자들에 대한 충분한 예우와 함께 수당 현실화가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같은 유공자라 하더라도 거주하는 지자체에 따라 각기 다른 금액을 지급받고 있다.

12일 광주지방보훈청과 광주지역 일선 지자체들에 따르면 참전명예수당은 6·25와 월남전 참전자 가운데 참전유공자로 등록된 이들 가운데 무공명예수당이나 다른 수당이 없는 이들에게 지급되는 금액이다.

현재 참전명예수당을 지급받는 광주지역 유공자는 4천304명이다.

이들은 국가보훈처에서 지급되는 17만원의 참전명예수당 외에 광주시에서 3만원, 거주지에 따라 구청에서 1~2만원의 참전명예수당을 따로 더 받는다.

하지만 서구와 남구만 참전명예수당을 지급하고 동구·북구·광산구에 사는 참전유공자들은 구청 지원금을 받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광주 서구에 거주하는 유공자는 광주시에서 3만원과 서구에서 2만원을 합해 모두 5만원의 참전명예수당을 받는다.

하지만 참전명예수당이 없는 동구·북구·광산구에 거주하는 유공자는 광주시에서 지급하는 3만원만을 받게 된다.

이처럼 전국 각 지자체에서 조례를 통해 지급하는 참전용사 명예수당은 전국 평균이 5만원정도지만 서구를 제외한 광주지역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충청도나 경상도가 10만원에 가까운 금액을 받는 것에 비하면 그 차이가 크다.

이에 대해 일선 지자체들은 예산난을 이유로 들며 사실상 뒷짐을 지고 있다.

참전유공자 최모(81)씨는 "대부분 나이가 들어 남은 여생을 편히 보내고 싶은 마음이지만 병원비와 후유증으로 고통받는 경우가 많다"며 "대중교통을 이용하려 해도 유공자증을 제시하면 아무 소용이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다른 참전 유공자도 "5·18 유공자들도 10만원을 지원받는데 우리도 나라를 위해 목숨을 내놓고 싸운 사람들이다"며 관심을 호소했다.

유공자들은 "미국처럼 가족들을 챙겨주지는 못해도 남은 여생동안이라도 참전한 것에 자부심을 갖게 해달라"고 당부했다.

광산구청 관계자는 "지급받는 참전명예수당이 차이가 나 민원이 자주 들어오는 실정이어서 대책을 마련중이다"며 "예산 문제도 있지만 다른 구청처럼 현금을 지급할 지, 아니면 참전자들을 예우해 행정에 참여시키는 사례를 만들 지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서충섭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