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 호남 지자체 머리 맞댄다
광주전남 인구유출 현상 지속…20대 집중
광주시, 전남·북에 공동 연구 제안 검토 중
입력날짜 : 2013. 11.08. 00:00
호남과 충청의 인구 역전 현상이 발생한 가운데 광주·전남지역 인구 유출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인구 감소로 인한 호남의 정치·경제적 위상 약화를 막기 위해 광주, 전남·북 3개 지자체가 대책을 함께 마련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7일 호남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9월까지 광주·전남지역에서는 5천108명의 인구가 줄어들었다. 광주지역 794명, 전남지역 4천314명이 각각 유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광주의 경우는 올 1·4분기에 31명이 유입됐으나 이후 2·4분기에 606명이, 3·4분기에는 219명이 연이어 빠져나갔다.
전남에서도 올 들어 1·4분기에 2천851명이 유출되더니 이후 2·4분기에 88명, 3·4분기에 1천375명이 계속 지역을 떠났다.
문제는 20대 젊은 층의 유출이 심각하다는 것이다. 최근 3·4분기의 광주 유출인구 연령을 분석해보면 20대가 569명으로, 연령별 최다 유출을 기록했다. 전남지역 역시 같은 시기에 빠져나간 20대가 1천427명으로 가장 많았다.
앞서 2·4분기에도 20대 유출은 광주 501명, 전남은 1천628명을 각각 기록, 최다 유출을 보였다.
이 밖에 이날 함께 발표된 전년 동분기 대비 생산·소비·고용·물가·건설·수출 등 경제지표별 동향을 보면 생산의 경우 광주는 2.3% 증가한 반면 전남은 -7.2%로 나타났다. 소비는 광주(-5.4%), 전남(-2.2%) 모두 감소했다.
그러나 고용(광주 3.0%, 전남 0.2%), 물가(광주 1.3%, 전남 1.2%), 건설(광주 72.5%, 전남 36.3%). 수출(광주 8.6%, 전남 2.1%) 등의 지표는 모두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될 경우 지역의 모든 경제지표에 적신호가 켜질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대책마련이 조속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호남권 발전 프로젝트 연구’를 광주발전연구원에 정책과제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특히 광주시는 인구 감소가 호남 전체의 문제라는 점을 인식하고 전남도와 전북도에 소속 발전연구원이 함께 참여해 공동 연구하는 것을 제안할 계획이다.
3개 지자체의 동의속에 3개 지역 발전연구원이 함께 연구에 착수하게 되면 ‘호남권 인구 유입대책’과 ‘호남권 발전을 위한 비전 및 프로젝트’ 등이 중점 논의된다.
광주시 관계자는 “아직 구상중인 단계이지만 호남의 정치·경제적 위상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동 연구 착수가 불가피하다”면서 “인구를 지키거나 늘리는 데 성공한 외국 또는 국내 지자체 사례를 분석해 상생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겠다”고 말했다.
'광주,전남 지역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계 금품갈취 “조폭 따로없다” (0) | 2013.11.11 |
---|---|
민원현장-기독병원 주차장 소음 피해 "시끄러워 밤잠까지 설친다" (0) | 2013.11.11 |
전일빌딩, 문학관 합시다” 세몰이? (0) | 2013.11.08 |
전남 한우농가 ‘벼랑끝’에 섰다 (0) | 2013.11.07 |
배추 500원ㆍ무 250원… 가격 반토막 (0) | 2013.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