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지역소식

호남권역재활병원… 차라리 광주시 직영하라”

이피디 2014. 3. 31. 08:04

호남권역재활병원… 차라리 광주시 직영하라”
조선대 “운영 포기” 내세워 운영비·장비 구입비까지 요구
광주시 “지나친 요구” …강은미 의원 “이럴바엔 직영을”
이호행 gmd@gjdream.com 
기사 게재일 : 2014-03-31 06:00:00
 

 

▲ 북구 본촌동에 위치한 호남권역재활병원 모습.<광주드림 자료사진>

 적자 논리로 운영 포기 의사를 밝힌 조선대학교가 호남권역재활병원 정상화를 위해 운영비 뿐만 아니라 장비 구입비까지 보전해 달라고 광주시에 요구하고 나서 지나친 요구라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선 이럴 바엔 차라리 수탁계약을 해지하고, 광주시가 직영하라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30일 광주시에 따르면, 최근 광주시의회 환경복지위원회 주선으로 조선대병원 관계자, 상임위 소속 시의원, 광주시 관계자 등 3자가 모여 호남권역재활병원 운영 정상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광주시는 “조선대가 성실하게 자구책을 마련한다면 적자 보전을 해줄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광주시는 장애인들이 물 속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수치료실에 5억 원을 지원해 기능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수치료실은 개원 당시부터 비좁고 곰팡이가 슬어 제 역할을 못한다는 지적이 끊임없었다. 더 나아가 광주시는 재활병원 위탁 협약을 변경해 ‘적자 보전’을 명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제시했다.

 하지만 조선대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로봇 치료기 등 첨단 장비 구매와 임대료까지 보전해야 한다며 한발 더 나아갔다. 이에 대해 광주시 등 관계자들은 “지금까지 비정상적인 운영을 해온 조선대가 ‘운영 포기’를 전술로 지나친 요구를 하고 있다”며 난감해 하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시에서도 공공의료 필요성을 인식해 적자 운영에 도움을 주겠다고 나서고 있는데도 조선대가 이에 대해 화답하지 않고 있다”면서 “시에서도 성의를 보여준 만큼 조선대병원도 운영 정상화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차라리 광주시가 직영운영을 하는 것이 낫다는 주장도 나온다. 운영을 민간에 위탁한 재활병원의 운영비에 장비구입 비용까지 혈세로 충당할 바에야 이를 시가 직영 하는 것이 의료 공공성 확보 차원에서도 합리적이라는 것. 강은미 광주시의원은 “조선대병원이 적극적인 운영 의지를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무조건 시가 적자를 보전하는 것은 혈세 낭비”라면서 “차라리 조선대와 위탁을 해지하고 광주시가 직영을 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다음 달 임시회에서 광주시와 조선대에게 재활병원 정상화 방안 마련을 촉구할 것”이라면서 “그럼에도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의회 차원에서 강력하게 압박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조선대 측은 “재활병원 운영에 대해서는 확실히 정해진 게 없다”면서 “광주시가 제안한 부분은 내부적으로 검토한 후 답변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호행 기자 gmd@gjdre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