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지역소식

구직자 두번 울리는 '엉터리 자격증'

이피디 2014. 1. 21. 07:16

 

 

주부 김모(49·전남 고흥군)씨는 취업을 하기 위해 인터넷을 검색하던  중 ‘노인심리상담사’란 자격증이 유망하다는 글을 발견했다.

김씨는 “점점 고령화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노인심리상담사’가 어떻게 보면 가장 현실에 맞는 자격증이라 생각했다”며 “자격증을 받으면 100% 취업된다는 업체 직원의 말만 듣고 교재비 등 60만원을 지급한 후 시험과 교육을 거쳐 자격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김씨가 취득한 ‘노인심리상담사’의 자격증은 취업에 아무런 도움되지 않은 종잇장으로 전락했다.

취업준비생 전모(28·북구 우산동)씨는 “자신만의 ‘스펙’을 쌓기 위해 광고를 보고 응시해 자격증을 땄지만 찜찜한 마음을 지울 수 없었다”면서 “자격증 따는 과정이 너무 쉬웠기 때문이다. 역시 자격증은 가짜였다”고 씁슬한 표정을 지었다.

최근 극심한 취업난 속에 자격증을 취득해 재취업 기회를 노리는 주부들이나 ‘스펙’을 높여 보고자 하는 취업 준비생들을 대상으로 ‘효력 없는 자격증’ 장사를 벌이는 업체들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들 업체들은 ‘100% 취업이 보장된다’는 식으로 재취업을 고민하는 주부들이나 취업준비생들을 유혹, 교재나 동영상 강의 등을 팔아먹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이처럼 자격증 관련 소비자 피해가 늘어나는 것은 우선 느슨한 민간 자격 등록제도가 원인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지난 2008년부터 국가 안보와 관련됐거나 국가 자격증과 똑같은 이름만 쓰지 않는다면 누구나 한국직업능력개발원(직능원)에 신규 자격증을 등록할 수 있도록 했다.

이로 인해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자격증들이 난립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민간 자격증 목록에는 반려동물장례지도사와 직무스트레스관리사, 동화구연지도사 등 실제로 관련 직종이 존재하는지 의심이 갈 정도로 생소한 자격증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병원코디네이터’라는 동일한 이름의 자격증이 48개나 되고, 학교폭력 관련 상담사·지도사 자격증은 99개에 달한다.

하지만 이런 종류의 자격증 수십개를 취득했다 하더라도 관련 업체에서 스펙으로 인정해주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자격증 관련 상담은 2008년 1천698건에서 지난해 2천100건으로 늘었다.

소비자원 한 관계자는 “민간 자격 등록제도와 관련된 피해 신고가 해마다 끊이지 않고 있다”며 “국가에서 공인한 일부 자격증을 제외한 대다수 자격증은 실제 취업 과정에서 거의 효력이 없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정응래 기자 jer@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