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교육관 위탁 운영 심의 ‘잡음’
5·18교육관 위탁 운영 심의 ‘잡음’
입찰 참가자 적격 여부 결정없이 재공모 의견
입찰자 '당혹'…광주시 떠넘기기·외압 의혹도
최근 증축이 완료된 5·18민주화운동 교육관 위탁 운영자 선정을 두고 잡음이 일고 있다.
입찰 참여단체의 적격, 부적격 여부를 결정하는 심의위원회는 이례적으로 심의를 유보했다. 입찰 참여 단체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심의 유보에 외압이 있었던 것은 아닌지 의혹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28일 광주광역시에 따르면 지난 27일 5·18민주화운동 교육관 위탁 운영자 심의위원회가 심의를 가졌지만 결정을 유보했다.
심의위원회는 정부 또는 광주시의 보조금 지원이 없으면 위탁 단체가 수익사업에 치중해 교육관 본연의 역할을 하기 힘들다는 우려를 하며 광주시가 공익적 차원에서 접근해 줄 것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냈다.
이 같은 결정에 입찰 참여 단체와 광주시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입찰에 참여한 5·18구속부상자회 관계자는 “심의위의 역할인 입찰자의 적격, 부적격 여부를 결정하면 되고 광주시의 보조금 지원 여부는 추후 의견으로 제출하면 되는데 심의를 유보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정 단체가 교육관을 운영하려는 음모가 있지 않고서는 이런 결정을 내릴 수 없다”며 “저희는 적자를 감내하고서라도 5·18 정신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순수한 의도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방해하는 세력이 있는 것 같다”고 외압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K심의위원은 “외압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보조금 지원이 없으면 수익사업에 치중해 교육관 본연의 역할을 하기 힘들다는 판단에서 심의를 유보한 것이다”면서“광주시가 예산 지원 없이 위탁기관에 모든 책임을 떠넘기는 무책임한 행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심의를 강행할 경우 심의위원 사퇴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외압 의심 단체로는 5·18기념재단이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기념재단은 이번 입찰 공모에 오재일 이사장이 5월 단체와 경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입찰에 응하지 말 것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져 의구심만 증폭되고 있다. 실제로 기념재단은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송선태 기념재단 상임이사는 “이사장께서 오월 단체와 경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지원금이 없는 한 신청할 수 없다고 지시했다”면서“재단을 외압 의심 단체로 보는 것은 이 문제로 재단을 꼬투리 잡아 흔들려는 얄팍한 술수를 부리고 있다”고 강한 불쾌감을 드러냈다.
광주시는 당혹스러워하면서도 심의위가 요구한 예산 지원은 현재로선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심의위가 입찰 단체의 적격, 부적격 여부를 결정해주길 바라고 있다. 이에 광주시는 29일 2차 심의위원회를 갖기로 했다.
광주시 인권담당관실 관계자는 “심의위의 역할인 심의만 하면 된다. 만약 부적격 처리하면 재공고를 하고, 입찰자가 없다면 보조금 지원여부를 검토하던지 직접 시가 운영하는 방안을 찾을 수 있다”면서“입찰 참여자가 있는 한 현재 심의위가 요구한 보조금 지원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노정훈 기자 hun7334@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