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지역소식
남악신도시 일대 목포·무안 난개발 우려
이피디
2013. 8. 26. 08:03
택지 447만평, 누가 들어와 사나
[이슈현장] 남악신도시 일대 목포·무안 난개발 우려
전남도 오룡지구 연내착공 … 인근 지자체들도 앞다퉈 개발
미분양·집값 하락 등 부작용 … 개발계획 선택과 집중 필요
전남도 오룡지구 연내착공 … 인근 지자체들도 앞다퉈 개발
미분양·집값 하락 등 부작용 … 개발계획 선택과 집중 필요
2013년 08월 26일(월) 00:00
전남도청의 무안군 이전에 따라 조성된 남악신도시 개발사업이 전남도의 오룡지구 연내 착공 방침에 따라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오룡지구가 첫 삽을 뜨게 되면 옥암·남악·오룡 등 3개 지구로 개발되는 남악신도시 1단계(남악·옥암중심권, 14.5㎢) 공사가 마무리된다.
하지만 남악신도시 2단계인 임성리역세권, 3단계 망월부도심권 등 남악 일대에 너무 많은 택지가 개발되고, 목포시도 백련·용해2·대성지구 등 잇따라 도시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이 일대의 난개발이 우려되고 있다.
부동산 침체 속에서 대규모 택지에 아파트를 지을 건설사를 찾기 힘들고, 자칫 택지 분양이 되지 않아 건물과 이주민은 없는 유령도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남악신도시 일대 도시계획을 현실에 맞게 재조정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한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전남도는 25일 “올 하반기 오룡지구 개발사업을 착공해 오는 2021년까지 모든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2.7㎢에 달하는 오룡지구 개발사업은 5990억원이 투입되며, 오는 2017년 1단계로 택지 72만㎡을 조성하게 된다. 또 업무·상업·문화 기능을 갖춘 수변생태도시로 개발되며 2만2000여명 거주가 목표다.
남악신도시 1단계는 지난 2003년 시작돼 남악(무안)과 옥암(목포)지구의 사업이 마무리됐지만 그동안 오룡지구는 전남도가 하수처리장 비용 문제로 무안군과 마찰을 빚으면서 늦어졌었다.
오룡지구 개발로 남악신도시 1단계 사업은 마지막 퍼즐을 맞출 수 있게 됐지만 문제는 임성(2.9㎢)·망월지구(2.7㎢) 등 인근에 무분별한 택지 개발이 예정돼 있고, 목포시도 구도심 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 지구가 모두 개발되면, 전남도청 인근 땅 14.78㎢(447만950평)에 새로운 택지가 생기게 되고, 재개발로 목포 원도심에도 새 아파트가 들어서게 되면 남악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목포·무안 일대의 도시 계획이 실패로 끝날 수 있다.
실제 개발을 마친 남악과 오룡지구의 분양률은 현재 80%에 머물고 있고, 인구유입도 3만9000명으로 애초 계획이었던 6만1000명 대비 63%에 그쳤다. 최근에야 분양을 시작한 옥암지구 한 아파트는 청약자가 거의 없어 애를 먹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남악과 옥암지구 입주민들도 대부분 무안(10%)과 목포(64%) 인근 전남권(14%)에서 옮겨왔고, 전남 이외 지역 이주민은 12%에 그쳤다. 결국 새로운 택지가 개발되더라도 인구 유입 효과는 작고 무안과 목포 등지의 인근 주민들이 거주지만 옮기는 ‘풍선효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지난 5월, 한국은행 목포본부가 전남도청 이전 후 7년간의 인구증가와 경제효과 등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지역 경제에 도움을 주지만 목포 원도심 활력 저하 등 부정적인 현상도 많았다고 지적됐다.
잇단 택지 개발로 인한 남악과 오룡지구 아파트 가격 하락도 우려되고 있다. 현재 이 일대 아파트 가격은 전남에서 가장 높은 편이다. 목포시 옥암동과 무안군 삼향읍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당 160만∼172만원선이다. 인구는 한정돼 있는데 아파트가 계속 들어서면 가격 거품이 빠질 수밖에는 없다는 것이다.
전남도 한 관계자는 “너무 많은 택지가 개발되면 지역 내에서 이를 소화할 수 없는 구조가 될 것”이라면서 “전남도, 목포시, 무안군 등 지자체간 이해관계를 떠나 근본적으로 이 일대 계획을 재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남악신도시 2단계인 임성리역세권, 3단계 망월부도심권 등 남악 일대에 너무 많은 택지가 개발되고, 목포시도 백련·용해2·대성지구 등 잇따라 도시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이 일대의 난개발이 우려되고 있다.
부동산 침체 속에서 대규모 택지에 아파트를 지을 건설사를 찾기 힘들고, 자칫 택지 분양이 되지 않아 건물과 이주민은 없는 유령도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남악신도시 일대 도시계획을 현실에 맞게 재조정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한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전남도는 25일 “올 하반기 오룡지구 개발사업을 착공해 오는 2021년까지 모든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2.7㎢에 달하는 오룡지구 개발사업은 5990억원이 투입되며, 오는 2017년 1단계로 택지 72만㎡을 조성하게 된다. 또 업무·상업·문화 기능을 갖춘 수변생태도시로 개발되며 2만2000여명 거주가 목표다.
남악신도시 1단계는 지난 2003년 시작돼 남악(무안)과 옥암(목포)지구의 사업이 마무리됐지만 그동안 오룡지구는 전남도가 하수처리장 비용 문제로 무안군과 마찰을 빚으면서 늦어졌었다.
오룡지구 개발로 남악신도시 1단계 사업은 마지막 퍼즐을 맞출 수 있게 됐지만 문제는 임성(2.9㎢)·망월지구(2.7㎢) 등 인근에 무분별한 택지 개발이 예정돼 있고, 목포시도 구도심 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 지구가 모두 개발되면, 전남도청 인근 땅 14.78㎢(447만950평)에 새로운 택지가 생기게 되고, 재개발로 목포 원도심에도 새 아파트가 들어서게 되면 남악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목포·무안 일대의 도시 계획이 실패로 끝날 수 있다.
실제 개발을 마친 남악과 오룡지구의 분양률은 현재 80%에 머물고 있고, 인구유입도 3만9000명으로 애초 계획이었던 6만1000명 대비 63%에 그쳤다. 최근에야 분양을 시작한 옥암지구 한 아파트는 청약자가 거의 없어 애를 먹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남악과 옥암지구 입주민들도 대부분 무안(10%)과 목포(64%) 인근 전남권(14%)에서 옮겨왔고, 전남 이외 지역 이주민은 12%에 그쳤다. 결국 새로운 택지가 개발되더라도 인구 유입 효과는 작고 무안과 목포 등지의 인근 주민들이 거주지만 옮기는 ‘풍선효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지난 5월, 한국은행 목포본부가 전남도청 이전 후 7년간의 인구증가와 경제효과 등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지역 경제에 도움을 주지만 목포 원도심 활력 저하 등 부정적인 현상도 많았다고 지적됐다.
잇단 택지 개발로 인한 남악과 오룡지구 아파트 가격 하락도 우려되고 있다. 현재 이 일대 아파트 가격은 전남에서 가장 높은 편이다. 목포시 옥암동과 무안군 삼향읍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당 160만∼172만원선이다. 인구는 한정돼 있는데 아파트가 계속 들어서면 가격 거품이 빠질 수밖에는 없다는 것이다.
전남도 한 관계자는 “너무 많은 택지가 개발되면 지역 내에서 이를 소화할 수 없는 구조가 될 것”이라면서 “전남도, 목포시, 무안군 등 지자체간 이해관계를 떠나 근본적으로 이 일대 계획을 재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익금 노린 지자체들 개발 열풍 … 주민 없는 ‘유령도시’ 우려
[이슈현장] 목포·무안 신도시 경쟁적 개발 배경과 문제점
편의시설 확충 없이 택지만 개발 … 텅 빈 신도시
남악지구 이익금 분배 법정다툼 속 시간 허비도
편의시설 확충 없이 택지만 개발 … 텅 빈 신도시
남악지구 이익금 분배 법정다툼 속 시간 허비도
2013년 08월 26일(월) 00:00
|
전남의 행정수도를 옮기고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는 남악 신도시 조성 사업은 개발이익금 배분을 놓고 전남도와 무안군이 법정 다툼을 벌이는 등 갈등의 씨앗이 되고 있다.
또 인근 지자체도 앞다퉈 택지 개발에 나서는 등 목포·무안 일대의 도심 지형도가 달라지고 있다. 택지 조성 과정에 막대한 개발이익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일선 지자체들이 대규모 개발 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것이다.
◇이익금 배분 지루한 다툼=전남도와 무안군은 가장 먼저 조성된 남악지구의 개발이익금 배분을 놓고 소송을 벌이고 있다. 무안군은 지난달 29일 전남도와 전남개발공사를 상대로 광주지법에 사업 이익금 분배 소송을 제기했다.
무안군은 전남공영개발사업 설치조례에 따라 남악지구 개발이익금 중 40%를 달라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전남도는 이 조례가 폐지된 만큼 이익금을 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 남악지구 개발이익금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많게는 5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연말 첫 삽을 뜨게 된 오룡지구도 하수처리장 문제로 수년간 개발이 지연됐었다. 전남도는 하수처리장 증설을, 무안군은 신설을 주장하면서 갈등을 빚다가 새 하수처리장을 건설하고 추가비용 82억원을 무안군이 부담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전남 서부권의 미래가 될 수 있는 신도시 건설 과정에 지자체가 서로 ‘돈 다툼’만 벌이다 시간만 허비한 꼴이다.
갈등의 씨앗은 사업 착공을 앞둔 오룡지구와·임성지구에도 존재한다. 오룡지구 개발에는 무안군이 참여하게 돼 있지만 개발이익금 배분 문제를 빚은 남악지구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전남도와 무안군의 원활한 협조가 이뤄질지 여부도 미지수다.
또 목포시와 무안군이 참여하는 임성지구 개발도 목포시는 적극적인 반면, 무안군은 남악지구 개발이익금 배분 문제 등에 집중하고 있는 상태다.
◇지구 내 편의시설부터 확충해야=지난 3월 무안 오룡초등학교 신축공사가 늦어져 이 학교 신입생과 유치원생 128명이 인근 남악초교에서 새 학기를 맞았다. 남악지구에 아파트는 들어서는데 정확한 학생 수요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벌어진 일이다.
이 같은 문제는 조성이 마무리된 남악지구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전남도청 인근의 건물 중 임대가 되지 않아 텅 빈 곳이 늘고 있고, 부지를 매입해 놓고 아예 건물을 짓지 않아 풀만 무성하게 자라고 있는 곳도 많다. 앞으로 오룡지구를 비롯한 망월부도심권과 임성리역세권 등 개발해야 할 대규모 지구가 남아 있는데도 사람이 몰리지 않고 있다.
더구나 목포시는 현재 백련지구(807세대)·용해2지구(2775세대)·대성지구(1391세대) 등을 개발하거나 분양중이어서 목포, 무안 일대에 너무 많은 택지가 개발돼 사업 성공 여부도 불투명하다. 전남도청 이전으로 공무원 등의 이주는 대부분 끝난 상태라서 새로운 수요를 찾기 힘든데, 앞다퉈 택지만 개발하는 전형적인 난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또 개발 소식에 임성지구 일대의 땅값이 평당 100만원을 넘어서는 등 투기 조짐이 일고 있고, 오룡지구(부지 270만㎡·공사비 5990억원) 예정 부지가 연약지반이라서 공사비가 남악지구(362만㎡·5400억원)에 비해 많이 든다는 점도 부담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인구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교육·의료시설, 주민 편의시설을 확충하고 공공기관의 이전 작업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목포대 의과대 유치, 자율형사립고, 특수목적 고등학교 설립 등 인구 유입 효과가 있는 교육기관과 시설을 먼저 갖추면서 새로운 지구를 개발하는 ‘내실있는 계획’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인근 지자체도 앞다퉈 택지 개발에 나서는 등 목포·무안 일대의 도심 지형도가 달라지고 있다. 택지 조성 과정에 막대한 개발이익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일선 지자체들이 대규모 개발 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것이다.
◇이익금 배분 지루한 다툼=전남도와 무안군은 가장 먼저 조성된 남악지구의 개발이익금 배분을 놓고 소송을 벌이고 있다. 무안군은 지난달 29일 전남도와 전남개발공사를 상대로 광주지법에 사업 이익금 분배 소송을 제기했다.
무안군은 전남공영개발사업 설치조례에 따라 남악지구 개발이익금 중 40%를 달라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전남도는 이 조례가 폐지된 만큼 이익금을 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 남악지구 개발이익금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많게는 5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연말 첫 삽을 뜨게 된 오룡지구도 하수처리장 문제로 수년간 개발이 지연됐었다. 전남도는 하수처리장 증설을, 무안군은 신설을 주장하면서 갈등을 빚다가 새 하수처리장을 건설하고 추가비용 82억원을 무안군이 부담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전남 서부권의 미래가 될 수 있는 신도시 건설 과정에 지자체가 서로 ‘돈 다툼’만 벌이다 시간만 허비한 꼴이다.
갈등의 씨앗은 사업 착공을 앞둔 오룡지구와·임성지구에도 존재한다. 오룡지구 개발에는 무안군이 참여하게 돼 있지만 개발이익금 배분 문제를 빚은 남악지구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전남도와 무안군의 원활한 협조가 이뤄질지 여부도 미지수다.
또 목포시와 무안군이 참여하는 임성지구 개발도 목포시는 적극적인 반면, 무안군은 남악지구 개발이익금 배분 문제 등에 집중하고 있는 상태다.
◇지구 내 편의시설부터 확충해야=지난 3월 무안 오룡초등학교 신축공사가 늦어져 이 학교 신입생과 유치원생 128명이 인근 남악초교에서 새 학기를 맞았다. 남악지구에 아파트는 들어서는데 정확한 학생 수요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벌어진 일이다.
이 같은 문제는 조성이 마무리된 남악지구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전남도청 인근의 건물 중 임대가 되지 않아 텅 빈 곳이 늘고 있고, 부지를 매입해 놓고 아예 건물을 짓지 않아 풀만 무성하게 자라고 있는 곳도 많다. 앞으로 오룡지구를 비롯한 망월부도심권과 임성리역세권 등 개발해야 할 대규모 지구가 남아 있는데도 사람이 몰리지 않고 있다.
더구나 목포시는 현재 백련지구(807세대)·용해2지구(2775세대)·대성지구(1391세대) 등을 개발하거나 분양중이어서 목포, 무안 일대에 너무 많은 택지가 개발돼 사업 성공 여부도 불투명하다. 전남도청 이전으로 공무원 등의 이주는 대부분 끝난 상태라서 새로운 수요를 찾기 힘든데, 앞다퉈 택지만 개발하는 전형적인 난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또 개발 소식에 임성지구 일대의 땅값이 평당 100만원을 넘어서는 등 투기 조짐이 일고 있고, 오룡지구(부지 270만㎡·공사비 5990억원) 예정 부지가 연약지반이라서 공사비가 남악지구(362만㎡·5400억원)에 비해 많이 든다는 점도 부담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인구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교육·의료시설, 주민 편의시설을 확충하고 공공기관의 이전 작업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목포대 의과대 유치, 자율형사립고, 특수목적 고등학교 설립 등 인구 유입 효과가 있는 교육기관과 시설을 먼저 갖추면서 새로운 지구를 개발하는 ‘내실있는 계획’이 필요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