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지역소식
지자체 급증하는 '길고양이’속수무책
이피디
2014. 5. 21. 07:36
지자체 급증하는 '길고양이’속수무책<上>사회문제로 확대
각종 민원 급증·중성화사업도 한계에 봉착 광주도심서 연간 500여건 '로드킬' 되풀이
하루가 다르게 늘어가는 길고양이가 지역사회 가장 큰 고민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광주지역 도심 로드킬 대부분이 길고양이로 2차 사고 우려도 낳고 있어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20일 동물보호 관계자 등에 따르면 길고양이는 2개월에 한번씩 발정기가 찾아와 한 마리당 매년 10여마리 이상 개체수를 증식할 수 있는 번식력이 뛰어난 동물이다.
길고양이는 주택가 밀집 지역이나 아파트 인근에서 생활하며 음식물 쓰레기를 파헤치거나 발정기 때 내는 특유의 울음소리로 해마다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는 등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길고양이 문제로 인한 주민들 사이 갈등도 심각한 수준이다.
서울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길고양이 분쟁 사례는 유명하다.
지하실에 사는 고양이를 두고 주민간 발생한 일명 압구정 분쟁은 몇년여간 해결되지 않고 있다. ��
지난 달 광주에서도 길고양이에 먹이를 줬다는 이유로 이웃간 고성과 몸싸움으로 경찰에 입건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처럼 갈등과 민원의 주범인 길고양이 문제는 곧 도심 속 로드킬로 이어지고 있어 2차 사고에 대한 경각심도 커지고 있다.
광주 5개 지자체 등에 따르면 매주 10여건, 매년 500여건의 로드킬이 이지역 도심 속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파악됐다.
로드킬은 지속적인 추세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 같은 도심 속 로드킬의 주요 원인으로는 길고양이의 개체수 증가가 꼽히고 있다.
광주 한 지자체 관계자는 "로드킬 신고가 올때마다 그때그때 처리하며 매해 로드킬이 꾸준히 일어난다“며 "근래 들어 고양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길고양이 증가가 점점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자 광주시도 지난 2009년부터 '길고양이 중성화 시술사업(TNR)'을 시행해 개체수 조절에 나서고 있다.
지난 해에는 TNR 사업 및 학대받는 동물 구조·보호를 위한 '동물보호 및 관리에 관한 조례 '를 제정해 각 자치구별로 2천만원을 지원했다.
그러나 해당 사업만으로 개체수 감소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광주에서 지난 해 중성화시술을 받은 길고양이는 299두, 2012년은 300두로 나타나 번식력이 강한 길고양이의 개체수 증가와 비교할 때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이에 대해 해당 사업 담당자들은 TNR사업 시술에도 많은 제약이 뒤따른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대부분 중성화 시술은 민원이 제기될 경우 포획 후 진행되지만 고양이가 너무 어리면 불가능하고 고양이의 컨디션 등도 감안해야 할 문제기 때문이다.
또한 겨울이나 여름은 실패확률이 높고 봄, 가을만 시술할 수 있는 등 계절적 특성에 따른 제약도 받고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자생적으로 살고 있는 길고양이는 구조를 제외한다는 동물보호법 시행규칙에 따라 길고양이를 포획해 동물보호소에 맡기는 일도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이에 대해 광주시 관계자는 “고양이 개체수 증가로 인한 민원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면서 해결책을 고심하고 있지만 TNR 사업 이외 뾰족한 방법이 없다”며 “더 많은 방안 등을 찾아보고 여러 선행사례를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세영 기자 jsy@namdonews.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