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지역소식
野 통합 새정치연합 탄생 … ‘일당 독점’ 폐해 더 심해졌다
이피디
2014. 5. 13. 06:51
野 통합 새정치연합 탄생 … ‘일당 독점’ 폐해 더 심해졌다
광주·전남 개혁공천 외면 … 기초長·지방의회 물갈이 안 돼
후보자 확정도 미적 … 정책·공약 검증 없는 ‘깜깜이 선거’로
후보자 확정도 미적 … 정책·공약 검증 없는 ‘깜깜이 선거’로
2014년 05월 13일(화) 00:00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광주·전남에서 야당의 ‘일당 독점’ 폐해가 더욱 심해졌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애초 ‘안철수 신당’의 창당될 것으로 보여지면서 20여년 동안 이어진 광주·전남에서 민주당의 ‘일당 독점’이 깨질 것으로 기대됐지만,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전격적으로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이 탄생하면서 그 폐해는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광주·전남이 전통적 야권의 텃밭이라는 점에서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여전히 ‘꽂으면 된다’는 식의 경선으로 일관하면서 지역민들의 반발을 불러오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이 6·4 지방선거에서 ‘개혁공천’을 강조한만큼 현역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의 대폭적인 물갈이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됐다.
또한, 새정치를 앞세운 안철수 공동대표가 당 지도부로 나서면서 이번 지방선거에서 만큼은 호남에서 과거처럼 ‘일당 독점’ 폐해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됐었다.
하지만, 광주지역 경선 결과와 전남지역 경선 진행상황을 보면 그 폐해는 더욱 커지고 있다. 아울러 광주의 경우 서구청장을 제외한 기존의 단체장이 모두 후보로 선정되고 현역 지방의원이 우세를 보임에 따라 ‘개혁공천’이라는 구호를 무색케 했다.
광주지역에 적용된 100% 공론조사 경선이 선거인단의 투표율 저조로 인한 대표성 논란과 함께 조직동원 현상이 곳곳에서 나타나면서 인지도와 조직에서 강한 현역들에게 모두 유리했기 때문이다.
전남지역 기초단체장 경선 또한, 대부분의 지역에 100% 여론조사 경선이 적용되면서 인지도가 높은 현역들에게 유리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곳곳에서 ‘새정치’가 ‘도로 민주당’이라는 비난 여론이 쏟아졌고, 지역 국회의원들은 차기 총선을 염두에 두고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오로지 ‘자기 사람 심기’에 여념이 없었다는 지적도 쏟아졌다.
이보다 더 심한 것은 새정치민주연합의 후보자 확정 시기다.
과거 지방선거를 볼 때 최소 선거일 35일에서 40일 전에는 후보자가 확정 됐었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은 옛 민주계와 새정치연합 계가 서로 공천 주도권 싸움을 하면서 광주의 경우 선거일 20여일을 남겨놓은 상황에서 후보자 확정을 했고, 전남은 아직도 기초단체장 및 지방의원 경선이 시작되지도 않았다. 이는 유권자를 철저히 무시한 처사라는 지적이다.
선거일을 코 앞에 두고 후보자를 확정할 경우 유권자들이 후보자와 그의 정책 공약 등을 충분히 검증할 시간이 없어 ‘깜깜이 투표’를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병근 조선대 정치학과 교수는 “이질적인 두 세력이 합당하면서 내부진통은 불가피하지만, 내부 경쟁관계를 통해 긍정적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이번 공천과정을 보면 모두가 구태의연하게 공천 주도권 싸움으로 일관하면서 정책경쟁 등은 뒷전이 됐다”면서 “호남이 중요하다고 하면서도 사실상 지역 유권자들만 이용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지 교수는 이어 “후보 선출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정책을 제대로 내놓고 지역민들에게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애초 ‘안철수 신당’의 창당될 것으로 보여지면서 20여년 동안 이어진 광주·전남에서 민주당의 ‘일당 독점’이 깨질 것으로 기대됐지만,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전격적으로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이 탄생하면서 그 폐해는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광주·전남이 전통적 야권의 텃밭이라는 점에서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여전히 ‘꽂으면 된다’는 식의 경선으로 일관하면서 지역민들의 반발을 불러오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이 6·4 지방선거에서 ‘개혁공천’을 강조한만큼 현역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의 대폭적인 물갈이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됐다.
또한, 새정치를 앞세운 안철수 공동대표가 당 지도부로 나서면서 이번 지방선거에서 만큼은 호남에서 과거처럼 ‘일당 독점’ 폐해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됐었다.
하지만, 광주지역 경선 결과와 전남지역 경선 진행상황을 보면 그 폐해는 더욱 커지고 있다. 아울러 광주의 경우 서구청장을 제외한 기존의 단체장이 모두 후보로 선정되고 현역 지방의원이 우세를 보임에 따라 ‘개혁공천’이라는 구호를 무색케 했다.
광주지역에 적용된 100% 공론조사 경선이 선거인단의 투표율 저조로 인한 대표성 논란과 함께 조직동원 현상이 곳곳에서 나타나면서 인지도와 조직에서 강한 현역들에게 모두 유리했기 때문이다.
전남지역 기초단체장 경선 또한, 대부분의 지역에 100% 여론조사 경선이 적용되면서 인지도가 높은 현역들에게 유리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곳곳에서 ‘새정치’가 ‘도로 민주당’이라는 비난 여론이 쏟아졌고, 지역 국회의원들은 차기 총선을 염두에 두고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오로지 ‘자기 사람 심기’에 여념이 없었다는 지적도 쏟아졌다.
이보다 더 심한 것은 새정치민주연합의 후보자 확정 시기다.
과거 지방선거를 볼 때 최소 선거일 35일에서 40일 전에는 후보자가 확정 됐었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은 옛 민주계와 새정치연합 계가 서로 공천 주도권 싸움을 하면서 광주의 경우 선거일 20여일을 남겨놓은 상황에서 후보자 확정을 했고, 전남은 아직도 기초단체장 및 지방의원 경선이 시작되지도 않았다. 이는 유권자를 철저히 무시한 처사라는 지적이다.
선거일을 코 앞에 두고 후보자를 확정할 경우 유권자들이 후보자와 그의 정책 공약 등을 충분히 검증할 시간이 없어 ‘깜깜이 투표’를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병근 조선대 정치학과 교수는 “이질적인 두 세력이 합당하면서 내부진통은 불가피하지만, 내부 경쟁관계를 통해 긍정적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이번 공천과정을 보면 모두가 구태의연하게 공천 주도권 싸움으로 일관하면서 정책경쟁 등은 뒷전이 됐다”면서 “호남이 중요하다고 하면서도 사실상 지역 유권자들만 이용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지 교수는 이어 “후보 선출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정책을 제대로 내놓고 지역민들에게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