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지역소식

광주·전남 '묻지마 투표' 안된다<지방선거 D-23>

이피디 2014. 5. 12. 07:00

뉴스정치/행정
광주·전남 '묻지마 투표' 안된다<지방선거 D-23>
김영민 기자  |  kym711@namdo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4.05.11  19:10:20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새정치연합 지역 패권주의·계파정치로 기득권 연연
새인물 중용 논의 뒷전…깨어있는 유권자 의식 절실

 




'기성정치 타파'를 천명한 새정치민주연합이 지방선거를 앞두고 또 다시 지역 패권주의-계파정치를 답습하면서 유권자가 직접 나서 '일당 독주'의 장벽을 허물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구태만연한 선거 광풍에 휘둘려 4년이라는 시간을 소모할지, 아니면 성숙한 선거문화의 초석을 놓게 될 지에 지역 사회의 논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바로 그것이다.

11일 새정치연합은 6·4지방선거 후보자 등록일을 불과 나흘 앞으로 남겨뒀지만 광주·전남 기초단체장을 비롯, 광역의원 등 지역 내 상당수 선거구 경선 후보자를 결정하지 못했다.

특히 새정치연합은 당초 '기초단체장 무공천'을 당론(黨論)으로 박근혜 정부를 압박했지만, 돌연 이를 철회하고 결국 물리적 시간에 쫓겨 새정치의 주요 의제였던 '새인물 중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논의도 하지 못했다.

일각에서는 새정치연합 주축이 돼야할 안철수 대표가 오히려 얼굴마담 지분을 주장하고 나서 '새정치계'라는 계파만 만들어 광주·전남 정가를 뒤흔들고 있다는 냉소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지역정가의 비아냥 섞인 비판에 앞서 새정치연합은 '창당 정신 질종'과 정치적 책임윤리를 망각했다는 지적이다.

새정치연합은 야권의 안방인 정가내부와 아무런 논의도 없이 최고위원회 의결로만 광주광역시장을 전략공천하기로 했다. 전략공천은 중앙당이 해당 지역의 후보를 선정하는 것으로 지역 민심과 따로 움직인다는 비판 때문에 구태 공천의 하나로 지적돼 왔다.

지역 시민사회의 비난과 분노는 거셌다. 광주광역시장 후보군 중 가장 약체로 평가됐던 윤장현 예비후보가 전략공천되면서 일각에서는 '안심(安心)’에 따라 공천이 이뤄진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새정치연합의 약속 파기와 무능은 전남지사 경선에서도 여과없이 드러났다.

당 최고위는 경선 과정 등에서 선거법 위반 등 불법사안에 철저히 평가하겠다고 했으나 선거전 내내 잡음이 끊이지 않았던 경선 과정동안 어느 논란거리에 대해 단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지역 국회의원들이 중앙당 등 여의도 정치권에서 무게감 있는 발언권이 있는 것도 아니다.

이같은 상황은 경선을 앞두고 있는 후보들에게 병폐(病弊)를 끼치며 악순환을 반복하게 하고 있다.

지역민을 위한 정책 공약 제시보다 당내 경선룰에 대해 민감할 뿐이고, 이미 중앙당의 간택을 받은 후보들에게 직·간접적인 줄대기에만 매달리고 있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이번 지방선거는 깨어있는 유권자 의식을 바탕으로 지역 기득권 세력에 대한 심판이 요구되고 있다.

이상석 행의정연대 사무처장은 "유권자에게 정치권의 잘못을 전가할 수는 없지만 선택 실패로 피해를 받는 것은 고스란히 유권자 본인 임을 인식하자"며 "실현 가능한 정책에 대해 판단하고 특정정당에 무조건 표를 던지는 '묻지마 투표'를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영민 기자 kym@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