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지역소식

정부 ‘임을 위한 …’ 기념곡 지정 거부 … 5월단체 반발 5·18 기념식 ‘보이콧’

이피디 2014. 5. 8. 06:53
정부 ‘임을 위한 …’ 기념곡 지정 거부 … 5월단체 반발 5·18 기념식 ‘보이콧’
국민 60%가 기념곡 지정 찬성

2014년 05월 08일(목) 00:00

 

 

 

 

5월 광주가 또 다시 부글거린다.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 민주화운동 공식 기념곡으로 지정하고 모든 참석자가 제창할 수 있도록 해 달라는 국민 요청을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5월 단체 등은 정부 주도로 치러지는 기념식에 불참하고 5·18 34주년 기념행사를 위해 지원받은 국비를 모두 반납키로 했다.

5·18 민중항쟁 제34주년 기념행사위원회(이하 행사위) 등 5월 단체들은 7일 5·18 34주년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5월 관련단체 대표 등만 불참했던 지난해와 달리 5·18 단체 회원 모두 정부가 주도하는 기념식에 불참키로 했다는 것으로, 5월 유가족 등 단체 회원들의 기념식 불참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이날 5·18 기념재단에서 회의를 갖고 5·18 34주년 기념식 불참 및 5월 행사 국비 반납을 결의했다. 5월 단체인 (사)5·18 민주유공자유족회를 비롯해 (사)5·18 민주화운동 부상자회, (사)5·18 구속부상자회 등 5월 관련단체도 행사위 결정에 동참키로 했다. 1년 넘게 지속적으로 요구했던 ‘임을 위한 행진곡’ 의 5·18 기념곡 지정과 관련, ‘국론 분열’을 들먹이며 거절하는가 하면, 제창마저 받아들이지 않기로 한 정부 결정에 따른 입장 표명이라는 게 5월 단체측 설명이다. 정부가 지원하는 5·18 기념행사 예산 1억2000만원도 돌려주기로 했다.

세월호 애도 분위기에 따라 취소하기로 했던 전야제와 함께 국비로 치러졌던 추모제·부활제·언론학술대회·전국휘호대회 등 8개 행사도 전면 취소될 처지에 놓였다. 다만 시·도 예산이 지원되는 50개 행사는 예정대로 진행된다.

한편, 국민 10명 중 6명가량은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 기념곡 지정을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시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뷰에 의뢰해 지난달 14∼15일 전국 거주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한 결과,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 공식 기념곡 지정에 대해 응답자의 59.8%는 “지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지정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은 22.3%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