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지역소식

마을별 추모행사 늘려 ‘시민 속 5·18’ 초점

이피디 2014. 5. 8. 06:39
마을별 추모행사 늘려 ‘시민 속 5·18’ 초점
■ 5·18 34주년 주요 행사 내용
내일부터 31일까지 광주·전남·서울 등서 50개 행사 진행
5월단체 정부 주관 행사 불참 … 국비 1억여원도 반납키로

2014년 05월 08일(목) 00:00

 

 

 

5·18 민중항쟁 제34주년 기념행사위원회(이하 행사위) 등이 5·18 34주년 기념식 불참이라는 강경한 방침을 정한 데는 정부의 무성의한 대응 및 안이한 역사 인식에 대한 불만이 맞물리면서 비롯됐다는 게 일반적 평가다.

1980년 5월, ‘계엄령 철폐, 신군부 퇴진’을 요구한 시민들을 군홧발로 짓밟으며 유혈 진압한, 그날의 ‘학살’ 이후 33년이 흘렀지만 달라지지 않는 ‘5월 역사 왜곡’에 대한 정부의 미온적 대응과 안이한 역사 인식 수준을 더이상 참기 힘들다는 게 이들의 공통된 목소리다.

◇“차라리 정부 기념식 하지 말라”=5월 단체 등은 현 인식 수준대로라면 정부가 주도해 5·18 기념식을 치르는 게 무의미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말 뿐인 정부 기념식’일 뿐 정부 스스로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의미를 애써 축소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는 게 이들 목소리다.

5월 관련단체 등은 5·18 역사왜곡과 ‘임을 위한 행진곡’을 공식 기념곡으로 지정하는 문제와 관련, 국가보훈처와 수차례 협의를 시도해왔다.

보훈처는 그러나 1년 넘게 이런저런 이유를 내세워 입장을 유보해오다 최근 기념곡 불가 및 기념식 제창에 대한 반대 입장을 내놓았다. 국회에서 내놓은 결의안조차 무색하게 하는 조치로, 국민의 목소리를 듣지 못하겠다는 의도로 비쳐질 수 있는 대목이다.

이 과정에서 일부 보수단체는 5·18의 역사를 부정하는 것도 모자라 ‘임을 위한 행진곡’에 이념의 색깔을 덧씌우는 행태도 벌어졌다.

그나마 정부는 지난 1997년 국가기념일로 제정된 5·18이 일부 세력들에 의해 폄훼·왜곡되는 상황에서도 미온적 대처를 해오고 있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5월 단체 등의 결정은 이같은 정부 행태에 대한 반발심이 작용하면서 비롯됐다는 게 5월 단체 안팎에서 흘러나오는 분위기다.

◇“이런 정부 돈도 안 받겠다”=정부의 부정적 인식이 바뀌지 않는 상태에서 5·18 기념식에 대한 정부 지원도 의미가 없다는 게 이들 입장이다. 5·18 기념행사로 치러지는 추모제·부활제·5·18과 언론, 학술대회 등을 취소한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다.

5월 단체 등은 더 나아가 시도민들에게 5·18 기념식 불참도 호소키로 했다.

사실상 5·18의 역사를 부정하고 외면하는 정부의 역사 인식을 감안하면, 더 이상 정부 지원을 받아 행사를 치르거나 기념식에 참석하는 게 부끄럽다는 것이다.

◇마을별 행사는 자체적으로 치르기로=행사위는 그러나 광주시 등의 지원을 받는 마을별 행사는 예정대로 치러 지역민들과 함께 하는 5월 행사의 취지를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보훈처 주관의 5·18 기념식을 하지 않더라도 5·18 기념행사의 취지를 살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겠다는 얘기다.

행사위는 9일부터 31일까지 광주·전남, 서울 등 전국에서 정신계승, 문화·예술, 학술·교육, 국제·타지역연대 등 10여개 분야 50여개 행사를 진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