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지역소식

새정연 전략공천 광주 '회오리'

이피디 2014. 5. 7. 06:18

새정연 전략공천 광주 '회오리'
강운태·이용섭 당 지도부 정면 비판 탈당선언
시민사회단체 강력 반발에 당원 무더기 탈당
일부선 지지선언 지역여론 분열 거센 후폭풍


입력시간 : 2014. 05.07. 00:00


새정치민주연합이 연휴가 시작되는 지난 2일 광주시장 후보로 윤장현 전 새정치연합 공동위원장을 전격적으로 전략공천한 이후 지역사회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서는 등 후폭풍이 거세게 일고 있다.

특히 경선 후보였던 강운태 광주시장과 이용섭 의원 등 당사자들은 물론 일부 시민사회단체들도 이번 결정을 강하게 비판하며 공천 철회를 요구하는 등 시장공천을 둘러싸고 지역사회가 분열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관련기사 3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 2일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당헌 101조 3항에 의해 광주를 전략선거구로 선정하고 후보자로 윤 후보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새정연은 윤 후보를 전략공천하며 “당이 추구하는 가치에 가장 부합된 인물로 광주의 ‘박원순 시장'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전략공천의 당위성을 설명했지만 관련 당사자인 강 시장과 이 의원은 이에 거세게 반발하며 탈당을 선언했다.

강 시장과 이 의원은 3일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강한 어조로 당지도부의 결정을 비판하며 끝까지 맞서 싸울것임을 천명했다.

강 시장은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가 광주시장 후보 경선을 묵살하고 밀실야합 공천을 강행하고 말았다. 새정치를 갈망하는 시민들에게 헌정치로 답한 안철수·김한길 두 사람 지배하의 정당에 더 이상 머무를 수 없다”며 탈당을 선언한 뒤 “이번 지방선거에서 반드시 승리하여 광주의 자존심과 명예를 되찾겠다”고 무소속 출마의 뜻을 밝혔다.

이 의원도 “광주정신을 모독하고 광주시민들의 마지막 자존심마저 짓밟은 김한길·안철수 지도부와는 이제 더 이상 어떤 가치와 철학을 공유할 수 없음이 분명해졌다”며 “광주시민의 참정권을 짓밟고 광주정신을 훼손한 김한길·안철수식 새정치가 얼마나 오만한 결정이었는지 시민들의 힘으로 보여드리겠다”고 당지도부를 정면 비판했다.

지역시민사회단체도 이같은 비판 대열에 동참하며 새정연의 공천철회를 주장하고 나섰다.

참여자치21은 6일 “새정치민주연합이 세월호 참사로 인한 전국민의 애도 분위기 속에 광주시장 후보 선정을 마지막까지 미루다가 지난 2일 광주시민의 의사와는 무관한 전략공천을 전격 발표했다"며 "안철수·김한길 공동대표는 즉각 광주시장 후보 전략공천을 철회하고 공정한 경선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공정경선수호 시민연대'도 “새정치민주연합은 광주시민의 기대를 저버리고 개혁공천이라는 미명하에 여론조사 (지지도) 10%대의 특정인을 '전략공천'이라는 정치테러에 가까운 만행을 저질렀다"며 "광주 자존심에 먹칠한 안철수·김한길 대표는 광주시민 앞에 사죄하고 전략공천을 철회하라"고 요구하고 전략공천 철회 때까지 매일 광주시당 앞에서 규탄집회를 가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새정연 소속 당원 250여명도 이번 전략공천에 항의하며 무더기로 탈당계를 제출했다.

이정일 전 서구청장, 오종렬 광주시당 고문, 오주·이춘범 전 광주시의회 의장 등 광주시당 당직자 및 당원 250여명은 “낙하산 공천 만행으로 광주시민을 ‘정치 금치산자’ 취급한 새정치민주연합과 더 이상 정치를 논할 수 없다”며 “강운태·이용섭 단일후보를 민주시민공천 후보로 추대해, 광주시민의 짓밟힌 자존심을 되찾고 광주정신을 지켜내는데 앞장서겠다”고 선언했다.

윤 후보를 지지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새정치민주연합 광주시당 경선후보자와 당직자 등 200여명은 7일 윤 후보 지지선언을 할 예정이다.

이들은 “중앙당 지도부의 결연한 용단을 환영한다”며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 정권을 심판하고, 광주를 명실상부한 민주·인권·시민도시로 만들기 위해 힘을 합해 나갈 것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또 ‘윤장현 후보를 지지하는 보육교사 모임’도 “시민운동가 출신의 윤장현 전 새정치연합 공동위원장을 선택한 것에 대해 적극 지지를 보낸다”며 “더 이상 보육정책이 탁상행정에 매몰된 관료들에 의해 비현실적이고 보여주기 식으로 수립되어서는 안된다. 정책수립 및 사업추진 과정에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지지를 보냈다. 도철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