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지역소식

총리·여당원내대표·보훈처장까지 '임을 위한 행진곡' 부정

이피디 2014. 4. 16. 08:02

총리·여당원내대표·보훈처장까지 '임을 위한 행진곡' 부정
입력시간 : 2014. 04.16. 00:00

 


5월단체 반발… 반쪽 기념식 '위기'

"보이콧 물론 광주시민 전체 불참 추진"

18일 국회의장 방문해 해결방안 촉구도

정홍원 국무총리와 정부 여당인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에 이어 박승춘 국가보훈처장까지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 민주화운동 기념곡 지정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면서 5·18민주화운동 34주년 기념행사가 파행 위기를 맞고 있다.

특히 5월 단체들이 기념식 불참 등 반발하고 있는 만큼 올해 34주년 5·18기념식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5월 단체들이 정부 행사에 불참한 대신 별도의 기념식이 치러지는 반쪽짜리 행사로 전락할 우려를 낳고 있다.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은 15일 국회 정무회의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 기념 노래로 지정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고 정부 검토 의견을 보고했다.

박 처장은 이 노래의 제창 여부에 대해서도 "이 노래에 대한 논란이 끝나지않아 현재는 정부 관례대로 합창단이 합창하고 원하는 사람은 부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5대 국경일의 경우 정부 의전편람에 특정곡이 아닌 기념곡 노래 제창이 명시돼 있어 3·1절 기념식에서는 3·1절 노래를 광복절에는 광복절 노래를 제창하고 있다"며 "여타 정부 기념일에는 기념일과 동일 제목을 가진 26개 기념 노래를 기념식에서 제창한다"고 덧붙였다.

박 처장은 "기념일과 동일한 제목이 아닌 특정한 노래를 부르는 기념식은 6·10민주항쟁, 5·18 민주화운동, 4·3 희생자 추념식이 있으며 기념공연 때 합창단이 합창하고 부르고 싶은 사람은 따라 부른다"며 "따라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 기념노래로 지정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지난 14일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 기념곡으로 지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밝혔고, 정홍원 국무총리도 지난 8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반대 여론이 있어 국론이 분열될 수 있다"고 발언하면서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기념곡 지정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국가보훈처와 새누리당, 정부의 '임을 위한 행진곡' 기념곡 지정 반대에 5·18기념재단 오재일 이사장과 5월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는 오는 18일 국회의장을 면담하고 국회 차원에서 이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촉구할 예정이다.

기념재단과 5월 단체는 국회의장과의 면담에서 성과가 없을 경우 '임을 위한 행진곡'의 기념곡 지정 문제에 대해 청와대에 공식적인 면담 요청도 고려 중이다.

김후식 5·18 부상자회 회장은 이날 "보훈처가 제시한 반대여론은 궁색한 핑계"라고 주장했고, 양희승 5·18 구속 부상자회 회장은 "'임'이 김일성이라는 등 종북놀이를 하는 것은 과거 일제 친일파들이 독립운동가들을 핍박할 때나 하던 짓들"이라고 비판했다.

5월 단체는 지난해 이어 올해 기념식에서도 '임을 위한 행진곡'이 공식 기념곡으로 지정되지 못한 채 제창할 수 없다면 기념식 불참 등 강도 높은 대응에 나설 뜻을 내비쳤다.

5월 단체 한 관계자는 ""5·18기념재단 이사장과 5월 단체장의 기념식 참석 거부는 물론 단체 회원들과 시민사회단체, 광주 시민들 전체가 34주년 기념식에 불참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열린 제33회 5·18기념식은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거부로 5월 단체와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 등이 불참하면서 반쪽 행사로 치러졌다. 전원·서충섭기자